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46건 검색되었습니다.
폭발 충격파 방어막 등장, 영화 스타워즈 현실로…
동아닷컴
l
2015.03.25
에너지방어막은 기술적으로 이미 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해 미국의 한 대학 물리
학과
학생들은 전자기장이 플라즈마방어막을 설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팀 http://blog.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초정밀 반도체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사진)팀은 찰스 리버 미 하버드대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선에 주기적인 껍질을 합성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선은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크고 독특한 전기적·광학적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연구진이 암의 조기 진단에 적용할 수 있는 광학현미경을 개발했다. 최원식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사람의 장기나 피부 조직 속 세포의 미세한 변화를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인 ‘CASS(Collective accumulation of single-scattering·단일산란집단축적) 현미경’을 개발했다. 현미경으로 피부 조직을 ... ...
타인의 담배 연기 맡아도 치주염 생긴다
2015.03.15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안데론케 아킨쿠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전염병
학과
연구원은 13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치과연구협회’ 제93회 모임에서 간접흡연만으로도 치주염이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흡연이 잇몸질환인 치주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은 그동안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가장 커다란 절지동물의 화석이 발견됐다. 피터 반 로이 미국 예일대 지질학및지구물리
학과
박사팀은 4억8000년까지 지구 해양에 존재했던 거대 절지동물 ‘아에기로카시스 벤물레(Aegirocassis benmoulae)’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12일자에 밝혔다. 발견자 무하마드 벤 물레의 이름을 딴 절지동물 ... ...
세계 암호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
2015.03.13
않았던 터라 대학을 졸업하고 안정적인 직업을 갖는 게 우선이었다. 하지만 건축
학과
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았다. 공부에 흥미를 못 느꼈고 재미도 없었다. 결국 2학년을 마친 뒤 그는 수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그의 인생에서 수학을 제대로 공부한 건 겨우 5년이다. 그런데 처음부터 ‘대박’을 ... ...
물 좋아하는 반도체 ‘흑린’의 환골탈태
2015.03.11
이주한·이현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박사팀과 이영철 가천대 바이오나노
학과
교수팀은 물에 약한 흑린의 성질을 보완하고 친환경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흑린은 인(P)과 원소는 같지만 모양과 성질이 다른 물질로 고온고압 하에서 만들어진다. 특히 흑린은 ‘꿈의 ... ...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 ‘수포자(수학포기자)’라면 여기 한 번…
2015.03.08
등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저자인 임채호 서강대 물리
학과
교수가 서강대와 전북대에서 수년 간 강의한 인문·사회계 학생 대상 인기교양 강좌를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제물포(쟤 땜에 물리 포기)’도 흥미롭게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영림카디널 제공 ■ ... ...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제4의 도시 아루샤에 있다. 이연희 연구소재중앙센터장(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
학과
교수)은 “매년 두세 차례 탄자니아에 전문가들을 파견해 현지 연구원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면서 “국내에 없는 희귀한 생물자원을 탄자니아에서 수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하이에나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우리가 중력상수 G값을 알기 때문이다. 김범준 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통계물리학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물리 복잡계가 주요 연구 관심분야다. 세상을 물리학의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