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려운 일이지만, 세계의 뛰어난 망원경을 모두동원하면 못 찾을 것도 없다. 지구와 같은
작은
행성은 거리에 비해 너무 어두워 모습을 직접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오래전부터 행성의 존재를 찾아내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해 왔다. 이제 천문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외계행성을 찾기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다. 물론 맨틀 내 연약권의 소규모 운동들도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작은
규모의 운동들이 지구 자기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자북이 진북과 이루는 각을 편각, 자침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복각이라고 한다. 현재 파리와 런던의 편각은 서방 편각이 점점 줄어들어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중력이 너무 강해서 어떤 물질도, 심지어 빛 조차도 그 중력권을 벗어나지 못한다.질량이
작은
별은 백색 왜성으로 종말을 맞는다. 이때는 물질의 전자 축퇴압이 중력을 버틸 수 있다. 그런데 질량이 얼마나 커야 전자의 축퇴압이 중력을 이기지 못하게 될까. 찬드라세카가 유학을 떠나는 배 위에서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화학회사인 헤라클레스사에 근무하던 1968년 팔라듐촉매를 이용해 상온에서 두
작은
분자가 탄소-탄소 결합으로 하나의 큰 분자를 만드는 반응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전까지는 이런 반응을 하려면 열을 가하거나 용액을 강한 산성으로 만들어 얌전한 탄소 원자도 반응할 수밖에 없는 조건이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발달을 위해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물론 모든 동물은 체구가
작은
쪽이 에너지 효율이 더 나쁜데, 몸무게에 비해 피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항상성을 유지하려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이 때 비록 적은 음식이지만 조금씩 식사를 계속하는 것은 생존기간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개발했다. 단백질을 용매와 섞어 높은 전압이 걸린 모세관을 통해 분무하면 전하를 띤
작은
방울이 된다. 이 방울이 분석기로 가는 동안 용매가 증발하면서 방울 내의 같은 극성끼리 반발해 더욱 미세한 방울로 나뉘는 원리다. 다나카와 펜 교수는 이 공로로 함께 2002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 ...
새알을 품은 봉선화꽃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모두 243개 작품이출품됐으며, 대상을 포함한 본상 14점, 입선작 48점이 상을 받았다. 당선
작은
바이오현미경사진전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도 만날 수 있다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소리 강도는 90~100dB이다. 이는 인간의 평소 목소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큰 소리에 묻혀
작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마스킹 효과(masking effect)가 성악가에게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공명에 있다. 사람의 공명관은 코와 입 사이의 인두강에서 구강으로 이어지는 주공명관과 비강으로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에 열에너지를 태풍을 통해 공급받습니다. 그런데 태풍이 적게 발생하고 그 규모도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이 적어 시베리아 기단의 온도가 더 낮게 유지됩니다. 시베리아 기단은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를 좌우하기 때문에 시베리아 기단의 온도가 낮은 경우 세력이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오래됐다.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와 유클리드는 버들가지로 만든 바구니의
작은
홈을 통과한 빛이 바깥 풍경의 상을 만드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기원전 5세기 고대 중국의 묵경은 “바늘구멍을 통과해 맺힌 상은 거울을 보듯 뒤집혀 보인다”고 기록했다. 11세기 송나라의 학자 심괄이 ... ...
이전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