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장 질량이 큰 목성이 형성되고, 뒤에 토성이 형성됐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수많은
작은
소행성들이 존재한다. 이들이 초기에 충돌 결합으로 큰 행성을 이룰 수 없었던 이유는 목성의 강한 인력이 자체적인 중력결합을 방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태양에서 10AU-30AU만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 ...
쥐도 표정이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도’를 만들었어요. 동물도 표정이 있는지 궁금했던 모길 교수는 쥐에게 두통 같은
작은
통증을 주고 얼굴 근육의 변화를 찍어 표정 분석 전문가인 크레이그 교수에게 보냈답니다. 크레이그 교수팀은 사람의 표정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준과 쥐의 특징을 고려해 사진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 ...
국기로 떠나는 세계여행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11:8, 룩셈부르크는 5:3 비의 국기를 쓴다. 정사각형 국기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인 바티칸시국은 가로세로의 길이가 같은 국기를 사용한다. 14세기 때부터 사용된 스위스의 국기도 정사각형이다. 세계가 함께 쓰는 기 국제연합(UN)이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대표하는 깃발은 가로세로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문제를 냈다. 합성수 16을 소수의 곱으로 나타내는 문제다. 학생들은 저마다 가지고 있던
작은
화이트보드에 문제를 풀었다. 먼저 푼 학생은 화이트보드를 흔들어 선생님에게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다. 어려운 문제를 다루지는 않았지만, 수학 공부를하는 영국 학생들의 자세는 적극적이었다. 수업을 ... ...
최강 수학도시는 어딜까?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도시대표 수가 작으면 점수가 높은 학생의 점수만 활용될 확률이 높아 인구수가
작은
지역이 유리하다. 특히 인구수가 50만 명 미만이면 K계수를 곱하기 때문에 평균점수가 더 높아진다. 하지만 이런 문제점은 대회 규모가 더 커져 많은 학생이 참여하면 해소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수학문화 확산에 수학체험전이 최고예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일본의 수학교구를 가지고 수학체험전을 연 것을 시작으로, 2000년에 들어서 크고
작은
체험전이 지역마다 생겨났다. 처음에는 수학체험전에 전시되는 수학교구를 외국에서 들여왔지만 여러 번의 행사를 통해 현재는 교사들이 직접 제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하지만 새로운 전시물을 만드는 데는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덮여 있다. 이 외피는 골프공 표면처럼
작은
구멍이 많이 있다. 이 때문에 구멍마다
작은
소용돌이가 생겨 썰매 전체가 받는 큰 소용돌이(공기저항)를 줄일 수 있다. 나노구조 외피 덕분에 썰매가 받는 공기저항은 최대 90%까지 줄어든다.썰매의 전조등에도 첨단 기술이 숨어 있다. 전조등에는 레이저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는 등대도 그때 세워진 곳이다. 우거진 수풀을 지나 20여 분 올라가니 하늘 위로 솟은
작은
등대가 나타났다. 검게 그을린 등대 안팎에서 세월의 흔적이 느껴졌다.점심을 먹고 마지막 해상일정으로 다이빙 체험에 도전했다. ‘스몰 아일랜드’섬 주변에 가서 보트를 정박시켰다. 미크로네시아는 ... ...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었지만 헤모글로빈을 만들지 못하는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며 “크기 4cm 정도의
작은
피부 조각만 있으면 충분한 양의 혈액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전에는 수혈을 할 때 부작용이 많았다. 자신의 혈액이 아니므로 같은 혈액형이라 하더라도 드물게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나기도 한다.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방출한다. 핵결합에너지가 제일 큰 질량수 56인 철을 기준으로 해 철보다 질량수가
작은
것들은 핵융합을 통해 질량수가 더 큰 안정한 핵을 만든다.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그 에너지를 인류가 이용한다. 결국 핵분열과 핵융합 둘다 핵결합에너지가 큰, 조금 더 안정한 핵을 만들고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