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팔꿈치 위의 스위치를 눌러주기만 하면 됐다!이 구조는 당시 프랑스 전역에 보급되기 시작한 방아쇠 달린 총의 내부와 비슷했다. 파레는 종군의사이기도 했기에 부상당한 병사에게 의수를 만들어줬다. 당시는 신분 차별이 엄연했던 때라 모든 이가 파레의 의수를 쓸 순 없었다. 개별 제작 방식이었기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선 내 얘기를 먼저 들어줘요. 시간이 별로 없어요.”니샤의 심장이 점점 빠르게 뛰기 시작했다. 네트워크에 글이 몰린다는 건 그만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나 그에 상응하는 뉴스가 퍼졌다는 뜻이었다. 윤환이 지금 이런 얘기를 하는 것과 때를 맞춰 글이 폭주한다는 게 과연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었죠.아이젬은 전세계 학생들이 모여 자신이 만든 합성생물을 뽐내는 대회로, 2003년에 시작된 뒤 매년 가을마다 열리고 있어요. 대회 참가자들은 주로 고등학생 이상으로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세부문으로 나누어 참가해요. 참가 분야도 실험, 소프트웨어, 예술 등 다양하답니다.때론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피는 시기예요. 보통 진달래는 3월 말, 산철쭉은 4월 중순, 철쭉은 4월 말에 꽃이 피기 시작해요. 또한 진달래는 꽃이 먼저 피고 꽃이 지면서 잎이 나오지만, 산철쭉과 철쭉은 잎이 먼저 나오고 꽃이 피거나 꽃과 잎이 같이 피지요.또 꽃받침과 어린 순을 만져 보아도 세 종의 차이를 알 수 있어요.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상상력이 풍부해 다른 사람과는 달리 공상에 잘 빠지고 혼잣말을 자주 한다. 동화가 시작하는 그날도 앨리스는 커다란 거울 앞에서 애완고양이 키티를 쓰다듬으면서 알쏭달쏭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그만 거울 속으로 빨려들어가고 만다. 거울 속 나라는 시간이나 사물의 모양이 현실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말이야.”갑자기 친절해진 벨페고르에 안심한 천사는 비밀의 집 이곳저곳을 파헤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누군가 마룻바닥에 감춰 놓은 함정에 빠지고 말았어요. 끊임없이 추락하는 천사, 이 함정은 어디로 통하는 걸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악마를 찾아 나선 수학 천사PART 1.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업 동영상인 ‘디딤 영상’을 보고 온 아이들이 시청 소감과 질문을 적는 것이 수업의 시작이다. 예민한 사춘기 아이들도 깔깔 웃는다는 거꾸로 교실은 어떤 모습일까?거꾸로 교실 들여다보기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가만히 앉아서 수업만 듣지 않는다. 궁금한 점을 선생님에게 적극적으로 ...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과학동아 l2016년 09호
- 1500만 년 전, 유인원의 공통조상이 인간으로 분화될 때 함께 분화해 본격적인 공생을 시작했던 사실도 최근에야 알려졌으니 말이다(1파트).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메치니코프가 장내미생물의 건강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그러다 2006년,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세렝게티 국립공원’처럼 나름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을 것이란 추측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런 사실은 2007년 DNA 해독 기술이 등장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밝혀졌다. 미생물도 인간처럼 DNA 안에 거의 모든 비밀이 숨겨져 있기 때문에, 미생물 생태계 즉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가 활발히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밀릴 만큼 빈곤한 나라가 아니다. 연구자들은 한국 사회가 불행한 진짜 이유를 찾기 시작했는데,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다.집단 속에서 자신을 잃은 개인들심리학에서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관점이다.개인주의는 ... ...
이전4164174184194204214224234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