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큰"(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명물] 한국에 푹~빠진 KAIST 공학도,데니스를 만나다!KAIST l2013.05.08
- 좋은 얘기라 다행이었다(웃음). 나쁜 얘기였다면 그 자리에서“ 저기요!”라 고 큰 소리치지 않았을까. 하하! KAIST 졸업까지 한 한기가 남았는데,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 마지막 학기는 체육 AU학점만 남겨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도 다니고, 마이다스아이티에서 회사 일을 경험하며 서울, ... ...
- ETRI, 한·일 자동통역 시범서비스 실시동아사이언스 l2013.05.07
- 박상규 ETRI 자동통역인공지능연구센터장은 “국민의 참여가 자동통역 성능개선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2014년 인천아시안 게임에는 ㈜CSLI 등 ETRI 기술을 이전 받아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는 국내 자동통역 서비스 업체와 함께 자동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앞으로 언어장벽 없는 ... ...
-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KISTI l2013.05.06
- 찌꺼기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 섬유질은 체내로 흡수되지는 않지만 대변에 남아서 큰 역할을 한다. 대변에서 물을 붙잡고 있어 변비를 예방해 주고 해로운 물질들을 희석해 주는 것이 그것이다. 게다가 콜레스테롤을 붙잡아서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을 예방해 주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 ...
- 미래부, 우주기술의 산업화 육성대책 마련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5.06
- 산업체의 우주분야 지속참여를 유도한다. 넷째, 첨단기술의 복합체로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우주기술의 특성을 살려 의료, 섬유, 환경, 건강 등의 분야와 융복합이 가능한 우주기술을 발굴하고, 신산업 및 신시장을 창출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끝으로, 우주기술이 창업 및 일자리 창출까지 이어질 수 ... ...
- 게임 산업과 아타리 쇼크KOITA l2013.05.03
- 언제든 할 수 있다는 이 매력적인 기획의 결실이 아타리 2600이다. 예상대로 아타리 2600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개발에 1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투입되었지만 1980년 한 해만 20억 달러의 순수익을 올릴 정도였다. 현재 가치로 따지면 약 40억 달러(약 5조 원)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다. 당시 가정용 비디오 ... ...
- 인기 좋은 팔방미인의 비결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시작하게 되면서 얻은 인맥,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얻은 지식과 경험이 큰 자산이 됐다는 것이다. "여성과기인 안주하지 말아야" 확실한 것은 이러한 그간의 활동이 많은 여성과학기술인의 영역을 확대하는 데 시금석이 됐다는 사실이다. 신 회장은 이를 바탕으로 여성과학기술인이 ...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중심 대학에 대한 비전을 마음껏 그려보라"는 윤종용 이사장님의 응원 한 마디는 저에게 큰 힘이 됐습니다. Q.총장님은 어렵게만 느껴지는 물리학을 일반인과 청소년들에게 쉽게 풀어서 알려주는 등 과학대중화를 위해서도 많은 활동을 하셨습니다. 쉽고 재미있는 과학에 대한 총장님의 철학을 ... ...
- 세상은 여성 과학기술인을 기다린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1퍼센트보다 상당히 낮을 뿐만 아니라 2007년 이후 3년 동안 줄곧 내리막을 걸었다. 가장 큰 문제는 '가정 내 가사 분담'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7 대한민국 행복테크' 보고서에 따르면, 외벌이에서 맞벌이로 바뀔 경우 여성의 가사 분담은 6시간 25분에서 3시간 28분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 ...
-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KOITA l2013.05.03
- 보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문제의 원인을 아예 없애버리면 어떨까? 암호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키를 중간에 가로채어 이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무효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 아닌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방법이 바로 OTP(One Time Password)다. OTP는 이름 그대로 일회용 비밀번호다. 암호가 ... ...
-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_장학생 김세엽 학생 인터뷰KAIST l2013.05.03
- 마디 해 주세요. 어렸을 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해두면 공부에 열중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저는 과학에 관심이 많아서 항상 꿈을 가지고 있었고, 중고등학생 때 KAIST에서 열리는 캠프에 많이 참가했었는데 정말 좋은 학교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열심히 탐구활동과 연구 활동,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