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자
유전단위
인자
뉴스
"
유전인자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짜게먹는 네 자매, 비만-고혈압 닮은꼴… 무서운 ‘습관 DNA’
동아일보
l
2015.01.30
걸친 공통습관을 말한다. 식습관은 질병 가족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후천적
유전인자
다.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팀장은 “부모가 간식을 많이 먹는 아이의 경우,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간식섭취량이 80Cal 정도 더 많은 편”이라며 “잘못된 식습관으로 비만이 된 부모의 경우, ... ...
기억 만드는 해마신경세포 보호 물질 발굴
2015.01.22
김상룡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경북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치매와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뇌세포 손상을 막는 유전자 치료 물질을 만들고 동물실험에 성공했다. 이 물질은 노인성 뇌질환 예방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룡 경북대 교수와 진병관 경희대 교수 공동 ... ...
피부세포로 파킨슨병 고치는 도파민 뉴런 뚝딱
2015.01.20
처음으로 접목했다. 줄기세포가 특정 세포로 변할 때는 세포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유전인자
외에도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연구팀은 평평한 표면과 패턴 간격이 각각 1.2마이크로미터(㎛), 400나노미터(㎚)인 3가지 환경에서 쥐의 피부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는 실험을 했다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한 달 전 쯤 어느 날 저녁 입술 주변이 약간의 작열감과 함께 간질간질했다. 이때 눈치를 챘어야 했는데 다음날 아침 일어나보니 작은 물집이 올라와 있었다. 단순포진(herpes simplex)이다. 몸이 피곤했는지 면역력이 약해져 잠자고 있던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준동한 것이다. 필자는 몸이 좀 약한 편이 ... ...
[Good Bye! 갑오년] 靑馬 실제로 있다? 없다?
2014.12.31
정도에 불과하다. 적어도 한쪽의 부모에게서 E+
유전인자
를 받고, 두 부모 모두에게 a
유전인자
를 받아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STX17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가 있어서도 안 된다. 가라는 다시 ‘보통가라’와 ‘먹가라’로 나뉘는데, 보통가라는 털이 일반적으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2014년은 국내외에서 유난히 사고가 많은 해였다. 보통 연말이면 한 해가 가는 게 아쉬울 법도 하지만 올해는 더 이상 사고 없이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4년 타계한 과학자 가운데도 사고나 스캔들로 인한 죽음이 있었다. 에이즈 분야의 석학인 네덜란드의 욥 랑게 교수는 지난 7월 17일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관여하는 전사억제인자의 구조. - 서울대 제공 식물이 생장호르몬을 이용해 유전자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서정용, 이상기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팀은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때 관여하는 단백질의 3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쥐의 시원생식세포를 만들 때는 관여하지 않던 SOX17이 인간 시원생식세포를 만들 때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셀 제공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인간의 정자와 난자의 모체라 할 수 있는 시원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 ...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연구진이 만든 줄기세포는 눈과 같은 체세포 조직으로는 잘 분화했지만(왼쪽) 정소와 같은 생식세포로는 분화하지 않았다. - 건국대 제공 한국과 독일 연구진이 모든 체세포로 분화할 수 있지만 유일하게 생식세포로는 분화되지 않는 줄기세포를 개발했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은 줄기세포 연구자의 염원이기도 하다. 한 번 운명이 결정된 체세포를 마음대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로 돌릴 수 있다면 한층 쉽게 줄기세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돌리는 과정을 ‘역분화’라고 한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