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자
유전단위
인자
뉴스
"
유전인자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관여하는 전사억제인자의 구조. - 서울대 제공 식물이 생장호르몬을 이용해 유전자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서정용, 이상기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팀은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때 관여하는 단백질의 3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2014년은 국내외에서 유난히 사고가 많은 해였다. 보통 연말이면 한 해가 가는 게 아쉬울 법도 하지만 올해는 더 이상 사고 없이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4년 타계한 과학자 가운데도 사고나 스캔들로 인한 죽음이 있었다. 에이즈 분야의 석학인 네덜란드의 욥 랑게 교수는 지난 7월 17일 ... ...
피부세포로 정자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쥐의 시원생식세포를 만들 때는 관여하지 않던 SOX17이 인간 시원생식세포를 만들 때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셀 제공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인간의 정자와 난자의 모체라 할 수 있는 시원생식세포(Primordial Germ Cell)를 인공적으로 만드는 ... ...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연구진이 만든 줄기세포는 눈과 같은 체세포 조직으로는 잘 분화했지만(왼쪽) 정소와 같은 생식세포로는 분화하지 않았다. - 건국대 제공 한국과 독일 연구진이 모든 체세포로 분화할 수 있지만 유일하게 생식세포로는 분화되지 않는 줄기세포를 개발했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 ...
줄기세포 역분화 스위치 첫 규명
2014.12.11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은 줄기세포 연구자의 염원이기도 하다. 한 번 운명이 결정된 체세포를 마음대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로 돌릴 수 있다면 한층 쉽게 줄기세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돌리는 과정을 ‘역분화’라고 한 ... ...
야생 박 게놈에서 항암 유전자 있다
2014.11.30
박과 식물의 하나인 오이(Cucumis sativus). - 미국 농림부(USDA) 제공 오이, 호박, 멜론, 수박 같은 박과 식물에는 ‘쿠쿠비타신(cucurbitacin)’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천적을 막기 위해 박과 식물이 스스로 합성하는 물질이다. 그동안 쿠쿠비타신의 쓴 맛 때문에 이 성분을 줄이는 쪽으로 식물을 개량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진희경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왼쪽), 배재성 경북대 의학대학원 교수 - 경북대 제공 영화 ‘내 머릿속의 지우개’에서 수진(손예진 분)은 젊은 나이임에도 알츠하이머에 걸려 점차 기억을 잃어간다. 급기야는 수진을 진심으로 사랑한 철수(정우성 분)도 잊어버린다. ‘C형 니만피크병’은 수진이 앓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네이처 제공 학창시절 수학교과서 속 집합 단원에서 볼 수 있는 벤다이어그램. 이 벤다이어그램이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 ... ...
막나가는 세포분열 막는 새 ‘브레이크’ 발견
2014.11.04
교신저자인 김빛내리 IBS RNA연구단장과 공동 제1저자인 김유식 연구원, 이정현 연구원, 여진아 연구원(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평범한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세포의 번식을 제한하는 제동장치의 고장이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이 이끄는 ... ...
당뇨 치료 신약 개발할 새로운 단초 발견
2014.11.03
DNA에 붙은 PPARγ 전사인자 - 위키피디아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당뇨병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아냈다. 최장현 울산과기대(UN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지방 분화를 담당하는 단백질의 활동을 방해하는 기전을 찾아내고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유전자와 발달(Genes &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