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뉴스
"
서식환경
"(으)로 총 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구의 주인공으로 살아온 곤충은 사는 곳을 까다롭게 따지지 않는 편이다. 다른 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하고 특별한 기관인 날개 덕분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천적이 많아지거나 먹이가 부족한 불리한 환경이 되면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과 밀림이 우거진 아마존, 찜 ... ...
'야생동물 천국' 세렝게티, 인간 활동으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그 외에도 해당 지역의 산불이 줄어들고 식생과 토양의 미생물이 변화해 동물의
서식환경
이 변화했다고 밝혔다. 젤두이스 연구원은 “이런 변화로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미래의 기후변화나 가뭄 등에 훨씬 취약하게 됐다”며 “생명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보호구역 경계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2017년 캐나다 코미디언 마이키 버스토스가 ‘상어 가족’을 패러디해 만든 뮤직비디오. 남녀노소 패러디할만큼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1월 둘째주에는 유럽의 전래동요 '아기상어'를 핑크퐁이 재해석해 빌보드 차트 핫 100위에에 진입했다. 지난 1월 한국의 동요 ‘상어 가족’이 미국 대중 ... ...
흰색 피 남극빙어, 찬 바다서 살아남은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이번에 게놈 분석이 완료된 남극빙어의 모습. 이를 통해 남극빙어의 생존전략을 밝혀냈다. 극지연구소 제공 국내 연구팀이 척추동물 가운데 유일하게 피가 흰색인 남극빙어의 게놈 분석을 완성했다. 박현 극지연구소 극지유전체사업단장 연구팀은 남극빙어 3만773개의 유전자를 확인해 다른 어류 ... ...
극지연구 ‘원석’에 KIST 기술 접목해 ‘황금’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KIST-극지연구소 첫 공동연구… 기초연구 넘어 유용한 기술 개발 체온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 등 4개 과제 내달부터 연구 나서 “극지 연구 패러다임 바뀔 것”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의 항공사진. 중앙에 세 갈래로 뻗은 건물이 본관이다. 극지연구소 제공 남극 해면은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리다.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당뇨에, 고혈압에, 최근에는 허리 디스크까지 온갖 병을 달고 다녀 ‘종합병원’으로 불리지만 늘 시간이 부족해 진짜 병원은 제 때 들르지 못했다. 깊은 산중에 연구소가 있으니 들고 나는 일 자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아직은 괜찮을 것이란 막연한 자신감도 있었다. 작년 연말 동네 병원 의사가 ... ...
국내 연구팀, 몽골에서 아기 신종 공룡 ‘고비랍토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몽골에서 새로 발견된 오비랍토르 류 공룡인 ‘고비랍토르 미누투스’의 생전 모습을 복원했다. 태어난 지 1~2년 된 어린 개체로 두개골과 골반, 다리뼈 등이 일부 발견됐다. 두꺼운 주둥이를 지녀 조개 등 단단한 먹이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사진 제공 김도윤 처음 발견될 당시 다른 공룡의 알 ... ...
스트레스도 가족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명절,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가족력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모가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됐을 경우 그 후손은 그 스트레스에 강한 면역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울타리 도마뱀이 불개미에게 물어뜯겨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펜실베이니아주립대 제공 명절인 설이 되면 ...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외부 환경이 바뀌면 생물들은 적응해야 살 수 있다.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몸의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생명체는 병이 생기거나 죽게 된다. 스스로 알아서 외부환경에 적응하여 생리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메커니즘을 항상성(恒常性)이라 하는데 체온 조절이 좋은 예다. 따뜻한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2018년 5월 2일 서울대공원에서 한국 호랑이 4마리가 태어났다. 정면을 보는 호랑이가 엄마 호랑이 ‘팬자’다. 새끼 호랑이 4마리에는 각각 ‘백두’ ‘한라’ ‘태백’ ‘금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진 남윤중 지난해 제1차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지고 며칠 뒤인 5월 2일 경기도 과천 서울대공원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