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지구사랑탐사대] 2024시민과학 프로젝트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시민과학 공모전의 주인공은?지구사랑탐사대는 생태 전문가와 함께 우리 주변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대원들은 매년 생물 16종을 관찰하고 기록할 뿐만 아니라 특별 프로젝트 연구에도 참여할 수 있지요.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지 한번 살펴볼까요? 올해로 ... ...
-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인간이 만든 새, 집비둘기 집비둘기의 조상은 바위비둘기예요. 지금으로부터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인들은 해안가 절벽이나 바위틈에 살던 바위비둘기를 잡아서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했습니다. 오랜 시간 사람에게 길러진 바위비둘기는 사람의 목적에 맞는 외형과 성질을 갖게 되었고, 집비둘기 ... ...
- [과학뉴스]2억 8900만 년 전 가장 오래된 피부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광택이 도는 어두운 색의 화석 위로 우둘투둘한 비늘 형태의 무늬가 보인다. 마치 악어 가죽처럼 보이는 이 무늬는 2억 8900만 년 전, 고생대 페름기에 만들어진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피부 화석이다. 1월 11일, 로버트 리즈 캐나다 토론토대 미시사가 캠퍼스 생물학과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올해는 남자, 내년엔 여자, 또 내후년엔 다시 남자매년 성별이 바뀐다면 어떨까요? 대만 난완만의 산호들이 매년 성별을 바꾼다는 사실이 최근 드러났습니다. 사실 생물에게 성별이란 그다지 절대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산호 외에도 물고기, 조개 등이 다양한 이유로 성별을 바꾸죠. 동물의 성전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