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보행자 교통사고·전력부족 해결할 첨단기술 제주에 도입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김동전 원장(왼쪽)이 5월 29일(수) 제주연구원에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건설연 제공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유무를 알려주는 보행자 횡단보도 사고 방지 시스템이 제주에 적용된다. 이외에도 전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파력발전 대비 발전효율이 2배이상 ... ...
'반도체 수출호황' 작년 ICT 생산 500조원 육박 '사상 최대'
연합뉴스
l
2019.05.27
성장둔화와 휴대폰·부분품 해외 생산 확대 영향 때문이다. 평판디스플레이도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수요확대에도 불구, 중국업체와의 경쟁 심화에 따른 LCD패널 가격 하락 탓에 전년대비 5.4% 감소한 65조9천억원을 나타냈다. 중소기업의 ICT산업 생산액 규모는 전년 대비 2.1% 상승한 98조2천88 ... ...
양자점과 OLED 결합한 차세대
발광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조명의 고효율 백색
발광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발광
소자가 내는 빛의 스펙트럼과 실제 소자(작은 사진).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함께 전기 자극을 줘서 소리에 대한 공포를 쥐에게 학습시켰다. 이런 쥐에게 앞에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해 1초에 1회 좌우로 움직이는 빛을 하루 30분 쪼여주면, 전통적인 공포 기억 삭제 치료만 한 쥐보다 훨씬 빨리 공포 기억이 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기존 치료법은 소리를 다시 ... ...
스스로 학습하는 ‘AI 반도체’ 급성장… 완전히 다른 세상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연산과 저장을 하나의 반도체에서 처리해 새는 에너지가 없다. 마치 뇌가 작은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 1개를 켤 정도의 적은 전력(20W 미만)으로 복잡한 연산과 기억, 학습, 운동 명령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처럼 뉴로모픽도 인간의 뇌를 닮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뉴로모픽 반도체의 약점도 ... ...
李총리 "과학기술 발달이야말로 가장 자랑스런 성취"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28명 및 과학기술유공 180명 등 총 5967명은 각 기관에서 상을 받았다. 세계 최고효율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김장주 서울대 교수가 과학기술훈장 창조상을 수상하는 등 과학기술 진흥 부문에서는 훈장 28명, 포장 7명, 대통령 표창 20명, 국무총리 표창 24명 등 총 79명이 ... ...
사회문제 해결 위해 현장서 머리 맞대는 '리빙랩’ 포럼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있는 공간에 모여 환경미화원 안전에 대해 고민했다. 그 결과 환경미화원을 위한 ‘자체
발광
작업복과 신발’을 만들었다. 리빙랩은 사회문제해결을 위해 시민들이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에서 현장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는 실험실을 의미한다. ‘살아있는 실험실’이나 ‘우리 마을의 ... ...
국내 연구진,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효율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7일자에 발표됐다.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증기처리공정 시간에 따른
발광
세기 및 파장변화(왼쪽)과 전자주사현미경으로 분석된 시간경과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의 결정크기 변화(오른쪽)을 나타냈다. GIST 제공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이동하는 반면 정공은 전극과 양자점 에너지 간 전달이 어려워 이동이 더디다.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이 떨어지고 소자의 수명이 짧아지는 이유다. 정공을 추가로 주입할 경우 전압을 더 가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연구팀은 탄소원자 5개와 질소원자 1개가 이뤄진 육각형 고리 모양의 유기 ... ...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2019.04.03
손상돼도 복구가 가능하다. 평균적으로 3분 뒤에 복구가 시작돼 30분 정도면 원래 기능인
발광
성질까지 회복한다. 또한 소재의 점성과 탄성이 높아 휘어지거나 접는 디스플레이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기존 디스플레이 소자보다 에너지 효율이 10배가량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박 교수는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