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반도체 방사선 피폭 의심환자 1명 추가…7명으로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추가로 보고된 의심 피폭 작업자 검사 결과는 20일 나온다. 사고가 일어난 서울반도체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디스플레이 반도체 분야 국내 최대 기업이다. 사고는 반도체 결함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장비의 방사선 발생장치를 안전 규정에 맞게 사용하지 않아 발생했다. 이 방사선 장치는 검사 ... ...
1조 분의 1초만에 사라지는 핫전자 잡아 태양전지 효율 1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결정을 이루는 물질로 빛을 매우 잘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태양전지와
발광
다이오드(LED) 등에 사용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핫전자 태양전지의 모습이다. IBS 제공 연구팀은 우선 이산화티타늄 박막 위에 금 나노구조체가 놓인 나노 다이오드를 제작했다. 그런 ... ...
[프리미엄 리포트] 무인잠수정 '해미래' 서태평양서 4000m심해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9.08.11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해미래는 서태평양 망간각 독점개
발광
구 인근 탐사 이후 괌 인근에서 해저 탐사 임무를 추가로 수행한 뒤 11월 17일 한국에 돌아올 계획이다. “더 정밀한 조사 위해 유인 잠수정 필요” 더욱 정밀한 심해 탐사를 위해서는 해미래와 같은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마이크로 LED 컨트롤을 하는 모습. KAIST 제공 연구팀은 중합체 미세유체관과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결합해 머리카락 두께의 유연한 탐침을 만들었다. 이를 소형 블루투스 기반 제어 회로와 교체 가능한 약물 카트리지와 결합했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 앱을 통해 무선으로 마이크로LED와 ... ...
"미래소재 연구에 역량 집중하고 못 따라오게 사다리 걷어차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2차전지 생산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카메라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제조용 메탈 마스크 등도 일본의 점유율이 높아 위험한 소재로 지목했다. 일본의 소재 경쟁력은 산업계를 위한 ‘뭉침’에서 나온다는 평이다. 일본은 1995년 당시 주류였던 ... ...
반도체 특성 가진 '그래핀 양자점' 결함률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양자점을
발광
체로 응용해 디스플레이를 제작한 결과, 안정적인 전압 범위에서 청색
발광
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최초로 개발된 그래핀 양자점 용액 합성법은 그래핀의 다양한 분야 접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잘 응용하면 유연 디스플레와 같은 반도체 성질을 갖는 ... ...
"누에 똥으로 중력장 증폭?" 정부 연구기관이 낸 이상한 논문 철회 '망신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연구하고자 밀과 대두를 시료에 감마선을 조사한 뒤, 중첩중력에너지로 처리한 시료의
발광
특성과 발아율 변화를 처리 직후와 6개월 저장 후 비교했다”고 밝히고 있다. 오혜지, 오상룡 교수의 2016년 논문 ‘차의 품질과 비물질에너지’ 역시 중첩중력에너지를 다루고 있다. 세 편의 논문에 ... ...
차세대 태양광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납 없이 안전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요오드화이터븀을 빠르게 소량 주입하는 공정으로, 이렇게 만든 소자는 색 순도가 높고
발광
효율이 좋았다. 연구팀이 이 소재를 이용해 빛 검출기 소자를 제작해 성능을 분석한 결과, 빛에 반응하는 성질이 뛰어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상현 교수는 “첨단소재에 사용되는 희토류계 원소를 ... ...
빛·물질 상호작용 제어 성공…신개념 디스플레이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플라즈몬의 강한 결합을 유도했다. 그 결과 플렉시톤 상태가 나타났으며 실시간으로
발광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플렉시톤 상태가 되자 단일 양자점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이 서로 다른 두 에너지 상태로 갈라졌다. 이는 향후 새로운 광전자 소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박경덕 ... ...
"OLED같은 다른 1등 제품도 반도체 꼴 날 수 있다" 공학계 '위기론'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과잉 투자로 시장이 만성 공급과잉상태에 빠져 있는 등 굉장히 어렵다”며 “그나마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세계 1위이자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지만, 여전히 핵심은 국산화를 못하고 있다. 한국은 핵심소재와 부품에 강한 나라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강 부사장은 “소재와 부품 R&D에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