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이하
아래
이후
이래
그늘
배후
뉴스
"
나중
"(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나로호 발사를 포함해 네 번 발사를 경험했는데 실제 발사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나중
에 발사 장면 보는게 꿈이다. ▶임철호 원장=개발에 참여한적은 없고 부원장 때 사고조사위원을 지낸 일이 있다. 산화제 탱크 만드는 데 많은 난관 있었고 기술적 난제 많은데. 개발할 때 저희가 설계하고 ... ...
꽉 막혀버린 총
팝뉴스
l
2018.11.19
쐈다. 역시 막힌 게 뚫리지 않았다. 계속 총을 쐈다. 총 8번의 총알을 쏘고는 포기했다.
나중
에 총을 절단해보니 위와 같은 모양이었다고 한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데 “신기하다”는 반응이 압도적이다. 대단히 보기 드문 상황을 촬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바버라 맥클린톡이 발표한 ‘움직이는 유전자’는 처음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나중
에는 유전학의 중요한 발견으로 인정받았어요. 이 공로로 바버라 매클린톡은 198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답니다.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 최근 들어 세계 곳곳에선 여성 과학자들의 활약이 ... ...
총을 든 남자와 곰의 정면 대결 ‘포착’
팝뉴스
l
2018.11.11
시도했다. 남자는 급히 실내로 들어와 문을 닫아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한다.
나중
에 추격해보니 곰은 보이지 않았고 혈흔도 없었다고 한다. 한편 남자가 죽음의 위기를 맞는 영상은 아내가 촬영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세 살 기억은 왜 여든까지 못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유년기를 자세히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몇몇 기억만이 남아있거나
나중
에 가족의 이야기나 사진 등을 보고 만들어진 ‘조작된’ 기억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상한 점이 있다. 2~3살 때 배운 낱말이나 감정, 동작 등은 계속 사용한다. 답은 간단하다. 유년기 기억상실증은 뇌의 각기 다른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흙속에 자리를 잡은 첫 날 부터 10~15개의 알을 낳기 시작한다. 처음에 탄생하는 일개미는
나중
에 나오는 것보다 크기가 반정도로 작다. 약 한달이 지나 일개미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 이때부터 낳는 알의 수도 늘려간다. 하루 1500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여왕개미는 약 9억 개의 정자를 갖고있어 자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생각이 제일 먼저 났다. 그리고 머리에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나의 사랑하는 제자들,
나중
에 너희들 중에서 노벨 화학상 수상자가 나올 것만 같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안떠난 것이 아니라 못떠난 '그들'
2018.09.22
떨어졌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떠나길 거부하고 있어서 우려된다는 기사가 있었다.
나중
에 위험한 상황이 되어 도움을 청하면 이미 늦을 수도 있고, 또 구조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생명 또한 함께 위험해지기 때문에 이기적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미항공우주국(NASA)가 12일(현지시간)공개한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2관. 세계 최초의 로켓과 최강 군함
2018.09.21
것으로 분석했다. 또 지붕도 전체가 덮여 있지 않고 십(十)자 모양으로 열려 있었으나
나중
에 일자 모양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전후좌우 19개 함포로 무장한 거북선 이 결과는 이순신 장군이 1592년 6월 14일 선조에게 올린 장계와 그의 조카인 이분(李芬)이 기록한 이순신 장군의 행록 등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일’이 보이기 시작했다. 모르는 게 있으면 언제든지 인정할 것. 괜히 아는 척 하다가
나중
에 크게 망하지 말 것. 모르는 게 있으면 주변에 묻기. 도움을 청하기. 회의 준비는 미리미리 하고 내용을 미리 컨펌 받을 것 등. 내가 뭘 모른다는 것을 인정할 때 비로소 나로 가득찬 머리 속을 비우고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