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흔적"(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과학수사대는 가장 먼저 범죄 현장에 도착해 범인의 흔적을 찾아요. 각종 도구를 이용해 범인의 발자국과 옷, 혈액 등을 찾지요. 그 중 가장 중요하게 찾는 단서 중 하나가 지문이에요. 지문은 손가락 끝에 있는 곡선 무늬를 말해요. 우리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만들어져서 평생 그 모양이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존 오스트롬 교수는 작은 육식공룡의 꼬리뼈 화석에 남아 있던 단단한 힘줄의 흔적을 통해 공룡의 꼬리는 뻣뻣해서 아래로 축 늘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그 결과, 몸을 세운 채 꼬리를 바닥에 질질 끌고 다닌다고 상상하던 공룡의 모습은 꼬리를 들고 등을 수평으로 눕힌 채 걸어다니는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현재는 우주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미지의 물질인 암흑물질의 흔적을 찾고 있다. 반면 경주 양성자가 속기는 길이가 75m인 선형가 속기다. 또, 양성자와 양성자를 충돌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가속된 양성자를 다양한 종류의 목표물에 충돌시키는 방식을 쓴다. 충돌 에너지가 수 TeV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룡 암컷의 뼈에서 현존 조류인 타조나 비둘기처럼 알을 만들 때 칼슘을 공급한 흔적(골수골)을 찾았다. 골수골은 악어 등 파충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조류의 고유한 특징이다. doi:10.1073/pnas.0708903105 2014년과 2015년에는 잭 호너(호너는 난독증으로 박사학위를 마치지 못했고, 몬태나주립대에서 ...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떻게 형성되는지 밝혀낸 최초의 실험 증거”라며 “두 층으로 분리된 마그마의 흔적을 추적해 새로운 철광석 광산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8-03761-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공을 바꾸고, 그 뒤 로봇 분야로 연구 분야를 옮긴 과정이 그의 치열한 고민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그 과정에서 박 교수는 연구자가 평생 한 가지 주제만 파고들 수도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분야로 학문적 관심이 옮겨갈 수 있다는 점을 직접 경험했다. 그는 “기계공학이라는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신고로 경찰 수사가 시작됐지만 용의자를 특정할 만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유일한 흔적은 A씨를 묶었던 테이프에 묻어 있던 길이 1cm 남짓의 ‘쪽지문(일부분만 남은 조각지문)’ 하나였다. 불완전한 그 지문마저도 테이프에 인쇄된 글씨와 겹쳐져 있어 식별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이 사건은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초반인 2015년에는 1인 가구 비율이 9.9%로 급증했다. 혼자 사는 삶은 뇌에 ‘고독’이라는 흔적을 남긴다. 길리안 매튜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거주 형태에 따라 우울감을 조절하는 뇌의 활성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2016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각각의 글이 있거든요. 어려운 내용을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쓰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엿보입니다. 강연도 아주 잘한다고 소문이 자자한데요, 8월 브라질에서도 멋진 초청강연을 선보이겠죠? 그 자리에서 필즈상까지 거머쥘지 궁금합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끼리끼리 모여앉아 머리를 맞대고 있었다. 칠판에 카드를 활용하는 수학 문제의 흔적이 있는 걸 보니, 카드 문제를 푸는 모양이었다. 모둠을 돌아가며 살피던 김 원장이 이윤석 군(중계중학교 2학년)에게 나와서 아이디어를 소개해보라고 했다. 이 군은 “아직 완전히 푼 건 아닌데…”라고 말하며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