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뜻이다. 한 교수는 “어렸을 때 기억이 뇌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증거”라며 “기억
흔적
을 실험을 통해 밝혀낸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또 “쥐가 공간을 보고 스스로 과거의 기억을 떠올린 것은 아니다”라며 “유아기 기억이 뇌에 남아 있더라도 성인이 된 뒤 모두 ... ...
[과학뉴스] 7000여 년 된 세계 최초 치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7000년 전 질그릇 조각에서 인류 최초의 치즈로 추정되는 지방산
흔적
이 발견됐다. 새라 맥클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인류학과 교수팀은 지중해 북부 아드리아해 부근 신석기 시대 마을에서 찾은 질그릇 조각에서 치즈 찌꺼기로 보이는 지방산을 발견했다. 탄소동위원소 ... ...
신과 함께? CG와 함께!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편한 프로그램을 앞으로도 계속 개발할 겁니다.Q 노트에 수학 아이디어를 고민하신
흔적
이 많은데 따로 수학 공부도 하시나요?강원철) 대학교에 다닐 때 교양과목으로 수학을 많이 들었습니다. 옛날부터 좋아했거든요. 그때 배운 것들이 전부 기억나진 않지만 수학의 논리는 몸에 배어 있는 것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속에서 추출한 공룡의 DNA로 공룡을 복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호박 또한 과거 생물의
흔적
인 화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화석은 표준화석과 시상화석으로 나뉜다. 각 화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넓은 지역에 걸쳐 특정한 시기에만 살았던 생물의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화성 탐사 결과를 토대로 6월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화성 표면에서 생명체의
흔적
일 가능성이 있는 유기화합물 분자가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화성 대기 속 메탄의 농도가 계절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메탄은 주로 생물이 만들기 때문에 화성에서 메탄이 생기는 ...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있었던
흔적
을 발견했지요. 이뿐만 아니라 앙코르와트와 연결되어 있는 도로와 수로의
흔적
도 확인했어요. 에번스 박사는 “이 유적들은 12세기에 전성기를 이뤘다가 멸망한 크메르 왕국의 수도인 ‘마헨드라파르바타’로 추정된다”며 “도시의 규모를 보면 현재 캄보디아의 수도인 프놈펜만큼 ...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뒤 1억 8000만 년 후에 생긴 별의
흔적
을 찾는 데 성공했어요. 이는 지금까지 밝혀진 별의
흔적
중 가장 오래 된 것이랍니다. 그밖에도 과학자들은 우주의 시작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연구 중이에요. 대표적으로 2020년에 칠레에 세워질 세계 최대 크기의 ...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찾아 분류하는 일이에요. 예를들어 여러 개의 구멍이 있고, 불도저와 같은 기계가 지나간
흔적
이 있는 곳은 고고학자들에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굴꾼들에게 이미 도굴된 유적지일 가능성이 높지요. 고고학자들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장소를 직접 탐사해 도굴의 피해가 심각한 곳은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레벨디자이너는 유저들이 게임에 로그인, 로그아웃하거나 게임에서 활동할 때마다 남는
흔적
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해 게임의 난이도나 승패에 따른 보상 등에서도 밸런스가 잘 맞는지 분석한다. 만약 특정 구간에서 유저들이 게임을 이탈하는 비율이 높을 경우 이 부분의 밸런스가 좋지 않다는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있다”며 “‘암흑광자’라고 하는, 암흑물질끼리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입자의
흔적
들도 찾고 싶다”고 말했다. 대칭성 깨짐이 왜 쿼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입자의 ‘맛(flavor)’ 문제)도 추가로 밝혀낼 계획이다.권 교수는 벨 실험의 강점으로 “꾸준히 자기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