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연주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센터 EU연구원은 “안테나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무엇이 물질에 대한 신호이고, 무엇이 노이즈인지 제대로 구분해내지 못했다는 뜻”이라며 “현재는 금성 대기에 포스핀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주변 환경까지 정확하게 재현한 가상 우주는 찾지 못했습니다. 필자를 포함한 많은
천문
학자들은 우리은하를 더 정교하게 이해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주로 쏘아 올려질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칠레에 지어지고 있는 거대마젤란망원경 등은 우리은하 주변의 물질분포를 더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103.023014이번 연구에 참여한 루카 코미쏘 미국 컬럼비아대
천문
학과 연구원은 “수천~수만 년 뒤 인류는 태양 대신 블랙홀 주변에서 살아갈지도 모른다”며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남아있을 뿐 물리학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 ...
살고 싶은 행성 찾아드립니다 '웰컴 투 우주부동산'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디딜 암석도 부족한 가스형 행성에 분양 사기 당하기 십상입니다. 저희 부동산은 지구의
천문
학자들과 협력해 여러분이 원하는 조건에 맞는 행성을 신속하게 골라드립니다. 지구에서 1억km밖에 떨어지지 않은 ‘지세권(지구세권)’ 매물도 많으니 일단 따라오시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적합한 온도일까요. 지난해 12월 더크 슐츠-마쿠흐 교수가 이끄는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 연구소팀은 국제학술지 ‘천체생물학’에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용어다. 지구가 아닌 천체에 지구 환경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1961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테라포밍을 진지한 연구주제로 삼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금성 대기에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뿌려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doi: 10.1126/science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선임연구원) Q우리나라도 하야부사 2호의 임무에 참여했나요? JAXA의 요청으로 한국
천문
연구원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지상에서 류구를 관측했어요. 이 관측 자료로 류구의 자전 주기가 7.6시간임을 확인했습니다. 류구가 자전함에 따라 태양 빛을 받는 면이 계속 달라져 소행성의 밝기가 ... ...
[과학뉴스] 가스 뿜어내는 은하, 최후 맞이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은하의 최후는 어떤 모습일까. 그동안
천문
학자들은 수많은 외부은하를 관찰하며 새로운 별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은하를 분석해왔다. 그러나 은하가 ... 데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
학’ 1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50-020-01268 ... ...
[과학뉴스] 우주 전체 촬영하는 ‘스피어x’
천문
연·NASA 공동 제작 돌입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것으로 기대된다. 스피어x는 2024년 발사될 예정이다. 스피어x 한국 연구책임자인 정웅섭
천문
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과거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인 근적외선 영상분광기(NISS)를 독자 개발한 경험이 밑거름이 됐다”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우주망원경 개발에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당시 18세의 나이로 국내 최연소 박사를 꿈꾸던 송유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천문
우주과학 전공 박사과정 연구원의 경우,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지도교수의 프로시딩(학술대회 보고서)과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표절로 판명된 사례가 있다.논문 유사도 검사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