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프 뉴스] ‘지구종말의 빙하’ 빠르게 녹고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
- [화보] 살아있는 모든 것을 품다, 생명의 보고 맹그로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냄새가 난다는 이유로 황무지로 취급되거나 쓰레기 투기장으로 쉽게 전락해버립니다.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맹그로브가 전 세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는 게 매우 슬픕니다. MAP는 앞으로도 남아 있는 숲을 보존하고 이미 사라진 숲을 복원하는 데 힘쓸 것입니다 ...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띠는 적혈구를 반사막으로 코팅된 간에 숨긴다는 것이다. doi: 10.1126/science.abl6620 지구에는 유리개구리처럼 투명한 몸을 위장술로 택한 생물이 몇 있다. 대부분은 해파리, 문어, 물고기 등 해양생물이다. 육상 척추동물이 투명한 몸을 가진 경우는 극히 드물다. 적혈구가 붉기 때문이다. 적혈구 속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전기로 작동하는 극저온 냉각기를 달았다. ASTHROS는 40km 상공에서 21~28일 동안 비행하며 지구로부터 약 176광년 떨어진 젊은 별 ‘바다뱀자리 TW’를 관측하고 항성 피드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항성 피드백이란 은하계에서 별이 새로운 별의 탄생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현상으로 은하계 진화에 중요한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원심력이 커지면 땅에 붙어 있지 않은 바닷물은 적도 근처로 모이게 됩니다. 만약 지구라면 적도 근처에 있는 아프리카 대륙이나 남미 국가들은 물에 잠길 수도 있겠네요. 반면 극지방의 해수면은 낮아질 겁니다. 만달로어인의 가장 현실적인 무기, 제트팩 만달로어인들은 과거 제다이와의 ... ...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연결인 ‘다운링크’가 끊어진 거야. 과학자들은 주노가 목성을 가까이 통과하던 중, 지구의 방사선보다 약 500만 배 강력한 목성의 방사선이 컴퓨터에 영향을 끼쳐서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어. 그래도 빨리 회복했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의 임무 통제소와 여러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옮길 지에 대한 논의가 한창입니다….” 최다솜(기상청 기후변화감시과 주무관) 전 지구는 산업화 이전 대비 온도가 1.09℃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1912~1940년 대비 최근 30년 동안 약 1.6℃ 올라 상승 폭이 더 컸습니다. 작은 변화인 것 같지만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폭염, 한파, 호우, 가뭄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프로젝트를 실천하며 지구의 미래를 지켜나가는 영웅을 소개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와 환경을 위해 여러분도 함께해 주세요! 따분행! 캠페인이준호 기자음료수병 분리배출음료수를 맛있게 먹고 난 뒤 플라스틱 병을 감싸고 있던 라벨을 벗겨 분리배출했어요. 따·분·행을 실천하니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인근, 공업단지의 쓰레기가 해변가에 쌓여 층을 이루고 있다. 인간 활동은 여러 형태로 지구에 흔적을 남기는 중이다.2 에디아카라기 지층 국제표준층서구역(GSSP)과 그곳에 설치된 기념 동판인 ‘황금못(Golden Spike). 앞으로 정해질 인류세의 GSSP에도 같은 생김새의 황금못이 설치되며, 주변 구역은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크기의 하트를 우주에 새긴 채 하나가 되는 것이다. 만약 충돌 방향과 각도가 달랐다면 지구의 하늘에서는 전혀 다른 모양이 보였을 것이다. 다만 이 은하 쌍의 공식 명칭은 아쉽게도 ‘더듬이 은하(Antenna Galaxy)’다. 이곳을 발견한 18세기엔 망원경 시야가 선명하지 않아 하트 모양의 별 원반은 볼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