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전파
d라이브러리
"
전파망원경
"(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중해를 지배하는 물의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엡실론(ε)별, 그리고 백조자리 61번 별을 잡고 있다. 1960년 6월에는 지름 26m짜리
전파망원경
을 사용하여 파장 21cm의 전파(1천4백20MHz, 은하계내의 수소원자가 발하고 있는 파장)를 직접 이 항성들에 보냈으나 반응은 없었다.현재는 이 계획은 진전되지 않고 있으나, 올 10월부터 콜럼부스가 아메리카 ... ...
퀘이사와 전파은하는 동일한 천체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최근 전파천문학자들은 관측에 근거를 둔 새로운 통일이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따르면 퀘이사 블레이저 전파은하 세이퍼트은하 등은 동일한 천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라는 설명인데…밝게 빛나는 천체는 천문학자들에게 오랫동안 하나의 수수께끼였다. 몇몇 은하들이 아주 작은 핵 ... ...
밝은 성단(星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찬란한 금빛으로 두껍게 아로새겨진 성찬용 접시같은 저 하늘의 바닥을 보라"-베니스의 상인, 5장1막에서셰익스피어를 포함한 옛날사람들에게 밤하늘은 사람이 만든 빛들로 얼룩진 모습이 아니었다. 그들은 우리보다 별들을 더 잘 볼 수 있었으나 우리가 갖고있는 천체망원경이 없었기 때문에 우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20세기 초가 돼서야 그 존재가 확실히 드러난 외부은하는 그 모습에 따라 타원은하 나선은하 등으로 구별된다. 수백억재나 되는 은하들은 서로 어떤 관련을 맺고 있으며 어떤 진화과정을 거치는 것일까?흔히 외부은하라 불리는 은하들은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수(우리은하)를 제외한 모든 천체들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극히 적다는 것은 틀린 애기가 아닐 것이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산하 천문대에 14m
전파망원경
이 있고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중이며, 대학에서 보유하는 40~60cm 크기의 망원경이 우리나라에 있는 관측 장비의 전부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을 포함해 국민들의 우주에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주는 무한한가 유한한가' 이 명제는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어느 순간에 다시 수축해 무한 밀도의 한점이 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돼 있다. 외부 은하들이 그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는 에드윈 허블의 발견은 천체들의 분포에 관한 인간의 지식을 크게 넓히게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m
전파망원경
으로 구성된 VLA(Very Large Array )라고 불리우는 전파간섭계의 모습이다. 이러한
전파망원경
을 이용해 각 원자 및 분자가 방출하는 고유의 전파를 관측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성간물질의 특성을 알 수 있는 데, 특히 수소원자가 방출하는 파장 21cm인 전파와 일산화탄소가 방출하는 파장 2.6mm인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가스의 구름으로 인해 중심 부분에 대한 우리의 시야는 거의 완전히 방해받고 있다.
전파망원경
은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나오는 강력한 전파에너지원을 찾아냈다. 그 근원은 매우 작은데 심지어 태양계보다도 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상당수의 과학자들은 그것을 거대한 블랙홀로 이야기하고 있다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7ha 이상의 지역에서 비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난초와 베고니아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이
전파망원경
이 자그마치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수 있기 때문이다.광학망원경들은 우리 은하계에 있는 먼지들 뒷면은 보지 못하는데
전파망원경
으로는 가능하다. 지난 1983년 새로 제작된 적외선 탐사용 인공위성은 약50만개의 적외선 분출지를 찾아냈다. 약 1년전엔 로샛위성의 X선 망원경이 하늘의 90%를 넘는 영역에서 수천개의 X선 출처를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