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데이터양이 풍부하고 퀄리티도 높아 좋았어요. 분석하기 마땅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지사탐 데이터는 그렇지 않았어요. 특히, 시민과학자들이 일상 속에서 마련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절대적인 데이터양도 늘릴 수 있어 유의미하다고 생각했어요. 다만, 이미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 ...
- 산토끼 vs 집토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뒷다리로 재빨리 도망칠 수 있습니다. 특히 유럽 산토끼처럼 탁 트인 평원에 사는 종의 경우에는 최대 초속 22m 정도를 달릴 정도로 빨라요. 이는 자신의 몸길이에 1초에 37배나 되는 거리를 박차고 뛰어나갈 정도죠. 치타가 1초에 최대 29m를 달리는 것과 비교해도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산토끼는 ... ...
- [디지털 바른생활] 영화처럼 온라인 미디어에도 연령 제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등 여러 가지 요소를 반영해 미디어의 이용 연령 제한은 만 14세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무조건 나이로 이용을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인 해결 방법일까요? 사실 나이만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추었는지 판단하기는 어려워요. 왜냐하면 고차원적인 사고력이 만 14세가 된다고 해서 ...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대부분은 해파리, 문어, 물고기 등 해양생물이다. 육상 척추동물이 투명한 몸을 가진 경우는 극히 드물다. 적혈구가 붉기 때문이다. 적혈구 속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에 포함된 철 성분은 산소와 결합해 몸속 구석구석에 산소를 보낸다. 이때 산소와 만난 철이 산화돼 붉은빛을 띠게 된다. 따라서 초록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21년 7월, 서울대 동물 표본실이 곰팡이로 뒤덮인 채 발견됐다. 보관 중이던 표본은 전량 폐기됐다. 임영운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팀 ...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다시 발생해 중요한 표본에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우리 연구를 보고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잃은 엄마가 거의 모든 사회적 관계를 끊고 은둔한 사례가 있다. 마카크원숭이의 경우에도 자식을 잃은 엄마가 매우 위축돼서 쭈그려 앉은 채 거의 움직이지 않는 등 흔히 말하는 우울 증세를 보인 사례가 있다. 그들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논하기엔 이것들은 단편적인 행동이지만, 비인간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지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상당 부분 지구 대기에 가로막힌다. 특히 감마선과 엑스선의 경우 열권에 있는 산소와 질소 원자에 의해 대부분 흡수돼 지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는다. 또 대류권의 수증기는 적외선을 일부 흡수하기도 한다. 이를 피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전자기파가 대기에 흡수되기 전인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디즈니+ 오리지널 시리즈 ‘만달로리안’ 처음 등장하는 만달로어 행성은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딥 스페이스 인더스트리’ 등이 대표적입니다. 딥 스페이스 인더스트리의 경우 물을 이용해 추진하는 시스템과 저비용으로 심우주 탐사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지원과학동아와 한국경제신문을 거쳐 현재 동아일보에서 과학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
- [수학상위1% 비밀무기] 의대 합격 비결은 친구와 함께 수학 공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법칙이라는 이름이 탄생했어요. 월초는 전 달 말로 생각할 수 있잖아요. 따라서 4가지 경우 모두 월초에 돈을 넣어서 월말에 뺀다고 바꿔서 계산할 수 있어요. 그렇게 문제의 특정 부분을 포착해서 답을 쉽게 구하는 일반화 법칙을 개발하고 다른 친구들에게도 가르쳐줬어요. Q. 둘이 같이 공부할 때 ...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생각해봅시다. 두 점의 간격을 ε(엡실론)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경우 초록색 직선의 기울기는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까 전에 두 점이 아주 살짝만 떨어져 있다고 했던 것, 기억나나요? 두 점이 아주 살짝만 떨어져 있다면 ε은 0이나 다름이 없겠죠. 따라서 ε = 0으로 두면,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