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론"(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1로 복귀한다. 요컨대, 자연 개체군의 성비는 1:1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이 피셔의 결론이었다. 해밀턴이 피셔의 난해한 논증을 쉽게 풀어내는 고작(?) 가이드 역할에 만족한 것은 물론 아니다. 해밀턴은 게임 이론을 도입해 성비 연구를 한 단계 도약시켰다. 피셔의 논증에 깔린 가정들을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내수차 강판, 수출차보다 얇다?대형 교통사고가 날 때마다 고개를 드는 괴담입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사실이 아닙니다. 두께를 다르게 만들려면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조립라인을 아예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얼마나 비용이 많이 들겠습니까. 그리고 사실 자동차에서 강판 두께는 큰 의미가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상징적인 작품을 갖지 못했을 겁니다.‘절규’가 그려진 배경을 근거에 기반해 확실히 결론 내릴 방법은 없습니다. 우리의 추론도 단지 가설일 뿐이죠. 그런데 영원히 대답할 수 없는 질문 하나가 더 있습니다. 동시대에 살았던 두 인물, 화가 에드워드 뭉크와 과학자 카를 스퇴르머가 왜 한 번도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사망한 소아의 수도 증가했다(doi:10.1126/science.aaa3662).결론적으로 백신 무용론을 주장하는 논리로 사용된 위생가설은 과학적인 근거가 전혀 없다. 오히려 무수히 많은 연구가 백신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증명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백신 부작용 신고 제도가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B세포가 약 1000개 필요하다. 신생아의 혈액 1mL에는 약 1000만 개의 B세포가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신생아는 한 번에 1만 개의 백신을 수용할 수 있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최근 아이들에게 권장되는 11종의 백신에는 130개 미만의 항원이 들어 있다”며 “결국 백신은 아이 면역체계의 약 0.1%를 ...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리고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교차 검증을 통해 알려주는 유일하게 믿을 만한 결론입니다.백신은 자신은 물론 속한 사회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강력한 방어막입니다. 직접 백신을 맞지 못하는 신체적 약자까지 함께 보호해 주는, 인류가 발명한 가장 인도적인 발명품이기도 하지요. 우리가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분자가 붙으니,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냄새 분자의 종류는 쥐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다.새롭게 밝혀지고 있는 사람 코의 능력사람은 물질이 갖고 있는 분자 중 공기 중에 날아다닐 수 있는 것을 냄새로 느낄 수 있다. 그러니까 냄새는 공기 중에 날아다니는 화학분자다. 사람의 코가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그런데 우변 c는 양수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영원히 성립할 수 없다고 해밀턴은 결론 내렸다.“천만에! 때론 성립할 수 있어”라고 프라이스는 어깃장을 놓는다. 유전적 근연도 r에 주목하시라. 만약r이 음수라면, 좌변 rb는 양수가 된다. 따라서 rb> c라면, 즉 상대방에게 끼치는 손실(b)의 절댓값이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년 반에 걸친 심의 끝에 웨이크필드 박사의 주장은 부정직하고 무책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랜싯은 해당 논문을 영구 철회했다. 해당 논문은 지금도 랜싯 사이트에서 내려 받을 수 있는데, ‘철회됐다(retracted)’는 문구가 커다랗게 찍혀 있다. 2010년 5월에는 웨이크필드 박사의 의사면허도 박탈됐다 ... ...
- [가상인터뷰] 하루에 2시간 자는 아프리카 코끼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00만~700만 년 전부터 다르게 살아온 두 종이라고 결론 내렸답니다.두 종은 귀의 끝부분을 보고 구별할 수 있어요. 아프리카코끼리는 크고 각진 귀를 가진 반면, 둥근귀코끼리는 그보단 작고 끝이 둥근 귀를 가지고 있답니다. 일리 아프리카에 가면 널 볼 수 있는거야 ... ...
이전37383940414243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