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론"(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괴물급 폭풍의 속도가 시속 500km에 이를 것이라는 결론을 내놨다. 2013.12 육각형 제트류 구름, ‘영화’로 만들다토성 북극에 나타나는 육각형 제트류 구름(위 사진)은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로 꼽힌다. 지구가 2개 들어갈 크기의 영역 안에서 제트기류가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연수 개수만큼 있다면 2N개다. 따라서, 2N이 0과 1 사이에 있는 모든 실수의 개수다. 결론적으로 칸토어 집합의 원소,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 실수 전체는 모두 개수가 2N으로 같다. 칸토어 집합은 여전히 실수만큼 많은 원소를 갖고 있고, 원소가 제 아무리 띄엄띄엄 있다고 해도 결국 셀 수 없다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의례적인 공격 행동은 종의 이득을 위해서가 아니라 순전히 개체의 이득을 위해서라는 결론에 홀딱 반했다. 유일한 아쉬움은 원고가 너무 길다는 점이었다. 저자가 분량을 크게 축약한 수정본을 다시 보내기만 한다면 그대로 저널에 실어도 되겠다고 ‘네이처’ 편집장에게 심사의견서를 보냈다. 19 ... ...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창업, 유학, 군입대에도 관심이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이다. 안 양은 “고등학교에 들어오니 수학이 어려워져서 겁이 났는데, 이런 활동을 통해 수학이 친근해지고 좋아졌어요”라고 말했다. 스토리로 푸는 통계7월 14일 저녁, 한밭고에서는 수학탐구발표대회가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300m밖에 사용하지 못했는데, 이론적으로는 2km를 더 가속시키면 시속 1100km에 도달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100년 전 꿈 되살린 일론 머스크진공 상태의 터널 안에서 달리는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는 사실 100년도 전에 나온 개념이다. ‘해저 2만리’를 쓴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의 아들인 미쉘 베른이 188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배 증가해 있었다. 레일리 경은 분광기를 사용해 빛을 관찰했고, 오로라 때문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오로라에 항상 존재하는 보라색 빛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밝은 밤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기록이다).대기의 파동들이 중첩되면서 대기광이 강해진다필자(고든 셰퍼드 교수)는 캐나다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타나고 용의자 남성의 DNA 정보가 확인된다면 두 사람 사이에 성관계가 있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성관계가 없는 성추행 사건의 경우에는 이를 증명하기가 쉽지 않다. 남성이 여성의 성기에 손가락을 넣어 추행한 경우, 성추행 행위를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혈청학적 ... ...
- [과학뉴스] 충격적인 비트코인 폭락, 원인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을 비트코인 양대 산맥의 ‘대 결전’ 때문이다. 이 날,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날 비트코인이 두 개로 쪼개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비트코인의 큰 양대 산맥인 비트코인 개발자 집단과 세계적인 비트코인 채굴 업체인 비트메인의 충돌 때문이다. 갈등이 불거진 건 개발자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발견됐습니다. 이로써 노란색 색소를 가진 배아세포는 꼬리근육 세포가 될 운명이었다는 결론이 도출됐습니다.하지만 이 가설은 곧 뒤집어집니다. 1890년대 초 독일의 철학자이자 생물학자인 한스 드리슈는 성게의 배아가 4세포기일 때 세포들을 서로 떼어 내면 각각 독립적인 배아로 발달한다는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지만 이 때문에 현대 바이올린보다 훨씬 뛰어난 소리를 낸다고 볼 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3일자에 실렸다(doi:10.1013/pnas.1619443114).높고 추운 산에서 자란 나무가 부활한 ‘숨 쉬는 악기’어떻게 수십 년간 최정상에 있던 명품 바이올린의 명성을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