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연구자들은 칼로리가 있는 진짜 당분을 섭취할 때만 혈당수치가 올라가고(당연히)
뇌
가 이를 감지해 쾌락반응을 일으키고 기억력도 높인다고 해석했다. 위의 동물실험 같은 엄격한 상황을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카린 같은 인공감미료가 설탕을 결코 대신할 수 없다는 ... ...
평생 후유증 남는다던 ‘
뇌
졸중’ 줄기세포로 고쳤다
2014.08.11
로 만들어내는
뇌
속 화학물질을 추가로 발견하고, 이를 치료제 형태로 개발할 계획이다.
뇌
경색 진단을 받은 환자가 병원에 오는 즉시 이 약물을 투여하면 응급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줄기세포 중개의학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탄소 나노튜브의 성장 모습을 담았다. 표지 그림에서 탄소 나노튜브는 마치 식물이 자라는 것처럼 뿌 ... 찍는데 63mW(밀리와트) 정도의 전력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로 사람의
뇌
를 구현하는데 한 발 다가갔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
2014.08.10
먹이로 삼는 침노린재처럼 얼핏 정반대되는 것처럼 보이는 두 생명체의 행동을 통해
뇌
가 펼치는 복잡한 방정식을 읽어 내고 소개한다. 에이도스 제공 ◆숲에서 우주를 보다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 著, 에이도스 刊) 식물학 분야 우수도서로 유명한 ‘숲에서 우주를 보다(원제; The Forest Unseen ... ...
“태블릿PC에서 내
뇌
가 보여요”
2014.08.08
확인하는 등 의료용으로 각광받을 것”이라며 “야구 모자처럼 더 작게 만들어 생활형
뇌
건강측정기로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둑 발견하면 CCTV가 전화로 바로 신고 연구단은 폐쇄회로(CC)TV에 영상 인식 기능이 있는 스마트 센서를 붙이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도둑이 담을 ... ...
86세 노인 피부세포로 신경세포 제조
2014.08.08
많이 있었지만 모두 세포가 사멸해 실패했다. 이식한 신경세포가 끊어진 신경을
뇌
까지 연결된 것은 최초이지만 아쉽게도 쥐가 팔다리를 다시 움직이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늙은 남성의 피부세포로 만든 줄기세포가 긴 신경세포가 된 것은 매우 성공적”이라면서도 “인간에게 적용하는 ... ...
아스피린이 대장암 위암 식도암 발병률 낮춘다? 부작용은?
동아일보
l
2014.08.07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위장장애나 출혈, 지혈 저해,
뇌
혈류량 증가에 따른 출혈성
뇌
졸중 등 아스피린의 부작용도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영국 암연구소(CRUK)는 아스피린을 장기 복용하려면 반드시 의사와 먼저 상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국 암연구소 줄리 샤프 박사는 "아스피린은 특정 ... ...
첫눈에 믿음 가는 얼굴은?
2014.08.06
참가자들이 나타내는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장치로 이들의
뇌
부위 중 편도(amygdala)의 활성 정도를 측정했다. 편도는 사람의 사회적ㆍ감정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곳인데, 프리맨 교수는 2009년 이 부위가 상대에게 신뢰를 표현할 때 활성화된다고 ‘네이처 ... ...
뇌
전증의 과학
2014.07.28
위에 소개한 다양한 사례들에서 알 수 있듯이 불치의 고질병이라고 포기하고 있던
뇌
전증도 관점을 달리하면 치료법을 찾을 수 있거나 최소한 증상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 ...
담뱃잎에서 찾은 치매 치료제 임상 돌입
과학동아
l
2014.07.28
당시 동물실험 결과 퇴행성
뇌
질환을 유발한 쥐에게 이 천연단백질을 투여하자 퇴행성
뇌
질환의 진행이 예방되는 것은 물론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이 확인됐다. 이 단백질은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다. 신경세포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조절해 신경세포 간 연경을 강화시켜 신경성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