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천외한
생물
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들도 엄연한 지구 생태계의 일원”이라며 오히려 “그들이 우리를 보고 이상한
생물
이라고 하지 않을까”라고 반문한다. 일러스트레이터 데라니시 아키라의 그림은 간결하면서도 특징을 잘 잡아내 마치 사진을 보는 것처럼 생생하다. 한국해양연구원 김동성 박사는 “이들의 특이한 몸 형태나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말한다. 학명이 Promacus vexator인 이 신종의 출현은 카나리아 제도가 다른 지역보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번지점프를 할까카나리아 제도는 스페인령 섬만 있는 것은 아니다. 포르투갈령 마데이라섬은‘영원한 봄의 섬’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아프리카 모로코 해안에서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정량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적고 염류의 용해도 등도 낮다
생물
의 경우 중수의 농도가 적을 때는 생체에 대한 저해작용이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진다 또 D₂O는 중성자를 흡수하기 때문에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나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같아 보이지만 손가락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외관상 닮아 보이지만
생물
학적 의미로는 엄밀히 말해 닮지 않았다는 것. 100% 유전자가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도 눈 색깔이 같을 확률은 99.5%다. 그래도 부모와 자식은 대개 붕어빵이라고 하지 않는가. 하지만 이 역시 착시효과일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산업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할 계획이다. 그는 “차가운 심해에서 사는 미
생물
은 지방을 잘 분해하기 때문에 세제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심해에서 보낸 5시간 동안 김 박사는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한다. 잠수정이 좁아 탐사 내내 요가하는 자세로 있어야 했다. 다리에 쥐가 ... ...
외롭지 않은 섬, 독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곳이 있는데, 이곳에는 병원균이 거의 없고 일 년 내내 기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또
생물
체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같은 유기물이 질소나 인 등 다양한 영양염류로 변환돼 축적되는데 이 물이 바로 해양심층수입니다. 해양심층수는 의약용 물질이나 식품, 화장품 등의 연구, 생산에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게 장점. 미즈메디병원 윤현수 박사팀도 냉동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2003년 ‘생식
생물
학’에 발표했다. 냉동배아 아닌 복제배아로 줄기세포 추출을 처음 시도한 사람은 미국 기업 ‘어드밴스드 셀 테크놀로지’의 호세 시벨리 박사. 2001년 핵을 제거한 사람 난자에 체세포 핵을 삽입해 ... ...
수학과 과학 가상실험실 - 익스플로어러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황우석 교수의 업적으로 생명과학에 대한 인기가 높다. 생명과학은 살아있는
생물
을 실험하거나 관찰해야 해 학생이나 일반인이 직접 경험하며 이해하기는 어려운 분야다.하지만 익스플로어러닝(explorelearning) 가상실험실 사이트를 이용하면 깔끔하게 구성된 플래시로 다양한 실험을 가상으로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것이 허 교수의 가설이다.그는 “2억5000만년 전인 고생대 페름기에도 공룡 멸종에 맞먹는
생물
의 대멸종이 있었는데 멸종 원인의 하나로 산소 증가설이 있다”고 설명했다. 과연 이번에 발견된 공룡알 속에 있는 공기가 중생대의 것일까. 고농도의 산소가 지구의 지배자 공룡을 괴롭혔을까. 아직은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놀랍게도 이 공룡의 뒷다리에는 비행성 비대칭 깃털이 발달했다.지난 수십년 동안 고
생물
학계는 새가 어떻게 하늘을 날게 되었는가에 대해 두가지 이론이 팽팽하게 맞서 있었다. 하나는 땅 위를 빠르게 달리다 하늘을 날았다는 ‘이륙’(ground-up)설과 공룡이 나무 사이를 날다람쥐처럼 활공하다 ... ...
이전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