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단계로 들어가도 꿈 속 세상이 현실과 거의 같다. 이와 비슷한 세계가 우리 주변에 있다. 바로 프랙탈 구조로, 해안선이나 브로콜리처럼 아무리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 그런데 실제로 존재하는 자연현상인 프랙탈이 양자역학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바람에 물리학자들이 ‘카오스’에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살 수 있는 행성)’를 찾았다고 해보자. 이제 가장 중요한 질문 이 하나 남아 있다. 바로 그 행성에 위성이 있느냐다. 이 것은 그 행성이 ‘정말로’ 쌍둥이 지구인지 아니면 그냥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졌지만 별로 관계는 없는 행성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만일 지구에 달이 없 었다면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산소는 바닷물에 있던 철분과 결합해 산화철로 퇴적됐다. 이 퇴적층이 드러난 곳이 바로 필바라 지역이다. 이곳 어디서나 녹슨 것 같은 검붉은 모래와 바위들을 볼 수 있다. 전세계 철광석의 80%가 이곳에서 나온다고 한다. 인근의 ’샤크배이’에는 아직도 살아있는 시아노박테리아의 활동으로 아주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는 이온채널 하나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하려고 했다. 그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바로 그 연구다. 문제는 잡음이었다. 측정하려는 전기신호의 100배 가까운 잡음 때문에 도저히 목적을 이룰 수 없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이 방법 저 방법 써보고 안될 때는 아예 다른 연구를 하다 6개월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적이 있다. 그 동안 경험한 거의 모든 기억을 완전히 망각하는 심한 수준의 기억상실증, 바로 ‘유년기 기억상실증’이다.초등학교 입학 전의 유년기를 자세히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혹시 기억이 난다 하더라도 단편적으로 몇몇 기억만이 남아있거나, 나중에 가족의 이야기나 사진 등을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않은 분야도 묵묵히 개척하고 있다. 최근 출간한 필립 볼의 3부작 ‘모양, 흐름, 가지’가 바로 그런 책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소개되지 않았던 ‘형태학’이라는 분야를 새로 소개한다. 다 빈치부터 하이젠베르크까지 수많은 천재들을 사로잡은 ‘패턴’에 대해 깊이 있게 알 수 있다.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차가운 곳에 더 주목하고 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나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가 바로 그런 곳이다(특집 3파트 참조). 2005년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는 엔셀라두스 남극에서 어떤 물질이 분출되는 사진을 보내왔고, 이온중성질량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분출물의 90%가 수증기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하지만 실감나는 영상을 TV로 보여줄 수 없다는 점이 한계다.축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과학의 힘으로 그 하이라이트를 더 욱 생생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월드컵 사이언스PART 1 - 과학기자가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보통 세포에서는 이것이 정상이다. 반대로 텔로머라아제가 지나치게 활성화 된 경우가 바로 암세포다. 염색체 끝의 텔로미어가 줄지 않기 때문에 세포도 죽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분열하는 것이다.그레이더 교수, 블랙번 교수, 조스택 교수는 이처럼 텔로머라아제를 이용해 세포 수명을 조절하는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화면에는 쥐의 심장박동이 실시간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쥐가 앉아있는 회색 판이 바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심전도(EGC) 전극이었다.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전도 기계의 축소판인 셈이다. 마치 소인국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사뭇 귀여웠다.운이 좋게도 일종의 엑스레이(DEXA)를 ... ...
이전4144154164174184194204214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