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쿼크 6개로 이뤄진 新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다고 예측하고, 이 입자에 ‘이중중입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번에 측정한 입자는 바로 이 입자일 가능성이 높다. 이중중입자는 빛조차도 원자핵 지름만큼만 달릴 수 있는 극히 짧은 시간인 10-23초 동안만 존재하기 때문에 붕괴 생성물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연구팀은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물이 흐른 듯 구불구불 이어진 것 같기도 하다. 이 기묘한 무늬가 바로 루나 스월이다.루나 스월은 최근 달 연구의 ‘핫이슈’다. 인류가 달에 간 이후 달에 대한 많은 정보가 밝혀졌다. 하지만 스월은 버젓이 표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인 데다 달의 여러 곳에서 관찰할 수 ... ...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어린 시절 (유조기)의 영양 상태가 그 개체의 장래 체격이나 건강을 좌우하고, 노래가 바로 그 지표가 된다는 ‘발달 영양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어린 시절에 충분한 영양이 주어지면 체격이 좋은 건강한 어른 새가 될 뿐 아니라 신경계도 발달해 노래를 잘 부르게 된다. 따라서 노래를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이론은 궁지에 몰렸다.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보어의 상보성 원리’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였다.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1925년 발표된 루이 드브로이(1929년 노벨물리학상)의 이론에 기반을 뒀다. 드브로이는 프랑스의 제5대 브로이 공작인 ... ...
- 식물부대 사령관 ‘꼬치라 부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기공을 열어라!“식물도 숨을 쉰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 보내는 입구가 바로 잎에 있는 기공이다. 닫혀 있는 기공을 여는 게 세 번째 문제다!”기공은 공변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잎에 수분이 많으면 공변세포 압력이 높아져 팽창한다. 팽창하면 기공이 열리게 된다.미션4 씨앗을 ...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이트 접속도 막아주지. 자신도 모르게 나쁜 유혹에 넘어갈 것 같아 걱정된다면 지금 바로 설치하도록 해.그런데 앱을 설치해도 공부를 안 하던 습관이 그대로 남아 있으면 공부를 잘하기 어려워. 이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나쁜 습관이 생겼다면 습관을 바꿔야 해. '세살 버릇 여든 간다'는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역시 행성이 되지 못 하고 남은 물질)이 만들어지면서 일부가 수축해 뭉치는 데, 이게 바로 규칙위성이다(위 그림 참조).규칙위성은 행성이 태어난 회전 원반에서 만들어졌으므로, 애초에 행성과 반대 방향으로 돌거나 궤도면이 기 울어질 수 없다. 따라서 불규칙위성이 나타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구조다. 이를 양쪽에서 누르면 사방으로 다리를 벌리고 있던 사다리들이 다리를 모아 똑바로 서면서 키가 커지고, 재료 전체의 가로와 세로 길이가 동시에 줄어든다. 즉 푸아송 비가 음수가 되는 것이다. 실험은 성공적이었다. 처음에 만든 스폰지형 투명망토보다 더 많이 변형시켜도 굴절률이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 9화 중최상궁이 말한 ‘초오’는 유용한 약재이자, 생명을 앗 아갈 수 있는 독초입니다. 바로 투구꽃을 이릅니다. 사 약의 재료인 ‘부자’와 형제지간인 식물이지요. 영화 ‘서편 제’에는 아버지가 딸의 눈을 멀게 하기 위해 부자를 달 인 한약을 먹이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다른 많은 미나리 ... ...
- 과학의 탈을 쓴 손금쟁이…, 아니 지문쟁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찾아가 봤지만 비슷합니다. 자, 한 가지가 빠져 있는 걸 아시겠죠? 아주 중요한 한 가지. 바로 지문과 적성의 연관성 말입니다. 발표연도와 연구자 이름까지 명시하면서 지문에 대한 연구를 늘어놓고 있지만, 정작 지문과 적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언급조차 없습니다.근거 없는 원리제가 파악한 ... ...
이전4134144154164174184194204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