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8,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05
NASA는 여러 난관에 부딪쳤다. 하지만 1981년 NASA는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를 성공적으로
개발
했고, 컬럼비아호는 그때까지의 발사체 기술을 집대성한 최고의 결정체로 인정받았다. 덩달아 NASA의 위상도 하늘을 찔렀다. 그런데 이런 NASA의 위상을 하루아침에 무너뜨린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두번째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카이 로봇)을 가지고 수업이 진행될 예정인데요. 한국로봇교육연구원 정재신 원장님이
개발
한 창의력을 높이는 수업이라고 합니다. 이 수업은 로봇이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식으로 세상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과학 수업이 진행될 것 같습니다. 이미 담당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주요 5대 암과 당뇨를 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DBD)와 DBD 드라이브를
개발
해 국제특허를 출원했다고 4월 21일 발표했다.이 장치는 DBD 표면의 주입구에 혈액을 넣으면 드라이브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고 이 혈청이 DBD 속의 진단키트와 반응해 질병을 진단한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05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를 얼음 속에 저장하는 신기술이
개발
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 교수는 얼음 안에 존재하는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일자에 발표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05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세포를 인체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치료기술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영국 정부가 이 연구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전했다.이에 대해 황 교수는 “공동 연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정부와 협의를 해야 하고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것. 가장 중요한 실전 기회를 놓친 셈이다.이번 파병에는 롭해즈 외에도 미국 리모텍사가
개발
한 안드로스도 포함됐다. 안드로스는 이미 수년전 군과 경찰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용화된 정식 군수품. 이에 반해 롭해즈는 아직 시제품이라는 차이가 있다. 파병 기간 동안 롭해즈는 자이툰 부대 내 육군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05
김종우 대표이사의 설명이다. 사실 펄스 레이저는 옛 소련에서 레이저 무기를 만들다
개발
됐다. 옛 소련 붕괴 후 이 기술은 유럽과 미국으로 건너가 1990년대부터 민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인체 홀로그램에 이용된지 십수년밖에 지나지 않은 셈이다.펄스 레이저의 간섭무늬가 기록된 원판필름을 ... ...
밥 먹으며 상대 마음 헤아린다
과학동아
l
200504
발명가 제임스 라르손은 식사하는 사람의 감정상태를 읽을 수 있는 포크와 나이프를
개발
하고 있다고 3월 16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오레일리 신기술컨퍼런스에서 발표했다.그가 만든 시제품의 작동원리는 거짓말탐지기와 비슷하다. 즉 포크와 나이프에 전극을 설치한 뒤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04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는 빛 알갱이 하나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양전지가
개발
될 수 있습니다.” 김교수는 빛 알갱이 하나를 받아 전자를 하나 배출하는 그야말로 100% 효율을 갖는 태양전지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초소형 태양전지가 세상을 비출 그 날을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04
향후 수십 년 내에 절반 이상의 산호초가 파괴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산호초는 연안
개발
에 따른 토사나 오염물질 유입, 폭발물을 사용한 어로활동, 무분별한 관광, 지구온난화에 다른 수온 상승, 왕관가시불가사리 등 천적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급속히 훼손되는 산호초를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