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8,983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06
실용화 201737 오염물 배출 최초화한 공정기술
개발
201538 노인과 장애인용 지능형 로봇
개발
201439 노인과 장애인 안전을 위한 복합기술 보급 201540 개인정보시스템 실용화 201241 스마트 도로교통 관제시스템 보급 201342 품질·경제성·환경성 최적화 설계기술 실용화 201343 해양생물 유래 신물질 대량생산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06
개발
됐다.미국 코넬대 로드 립슨 교수는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개발
했다”고 ‘네이처’ 5월 11일자에 발표했다.이 로봇은 주사위처럼 한 변이 10cm인 정육면체 4개가 길게 연결돼 만들어졌다. 이 로봇은 반으로 분리될 수 있다. ‘어미’ 로봇이 몸을 구부려 반으로 나뉘면서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06
전문 업체인 암막은 모핑으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사진을 빠르게 출력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 방문객 누구나 자신의 네안데르탈인 이미지를 가져갈 수 있게 하기 위해 박물관측이 배려한 것.한편 이번 복원 프르젝트에서 자문역은 보르도 고인류연구소 브루노 모레이 박사 연구팀이 맡았다. 모레이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06
되는 방법 중 하나다. 필자의 연구팀은 최근 물리학을 뇌지도 연구에 응용하는 방법을
개발
해 물리학계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물리학이 과연 뇌 연구에 어떤 도움을 줄까.초기의 뇌지도 연구는 주로 사고능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뇌에서 손상된 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을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06
인정받아 1987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그 후 1990년대 들어 많은 화학자들이 초분자를
개발
하는 연구에 뛰어들기 시작했다.최근 일본 도쿄대 다쿠조 아이다 교수팀은 직접 설계한 분자들이 저절로 모여서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나노튜브 형태의 초분자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06
삼성전자를 비롯해 세계 반도체 기업들은 벌써부터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
에 뛰어들었다.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대신할 무언가를 찾아내는 것이 이들의 공통 목표. 플래시메모리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세대 반도체메모리는 지금 춘추전국시대를 맞고 있다.노어(NOR)와 낸드(NAND) |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06
수 있다.플래시 기술의 영역은 메모리 분야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 매크로미디어가 1997년
개발
한 동영상 제작 소프트웨어도 ‘플래시’라 불린다. 일반 동영상에 비해 파일 크기가 작고 속도가 빠르며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플래시는 애니메이션(엽기토끼, 졸라맨), 코믹송(올챙이와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06
이 기술에 대한 라이센스 교부나 주문자 생산 방식 채택을 꺼렸다. 소니가 독자적으로
개발
한 베타맥스 기술을 적용한 녹화기는 반드시 ‘소니’라는 이름으로 생산돼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라이센스를 부여받은 회사에조차 소니의 기술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를 허용하지 않았다. 만일 개선이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내고,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칩이 점점 작게
개발
되고 있는데요. 크기를 작게 하면서 성능이 뛰어난 신물질을 찾아 내는 일도 교수님의 연구가 큰 역할을 한답니다.이러한 연구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교수님이지만 힘든 일도 있었어요. 후에 한국과학상을 ... ...
폭발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05
폭발물 검색 장비보다 성능이 30배나 뛰어난 신물질이
개발
됐다.미국 MIT 티모시 스웨거 교수팀은 TNT 같은 폭발물을 탐지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4월 14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이 물질에 자외선을 쬐면 안에 들어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TNT가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