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구의 4분의 1에 머문다. 하지만 해는 지구에서 약 1억 4960만km 떨어져 있고 달보다 400
배
나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지구에서는 달과 해가 비슷한 크기로 보인다. 결국 달이 해와 지구 사이에 들어오면 해를 가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물론 달의 실제 크기가 작다 보니 완전히 가려지는 모습을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돼서도 여전히 구멍 뚫린 도넛을 만들어 먹었다. 그레고리는 커다란
배
의 선장이 됐는데,
배
를 운항하면서 도넛을 먹던 중 폭풍을 만났다. 그는 급한 대로 조타장치의 튀어나온 부분에 빵을 꽂고 폭풍을 피했다. 이때부터 구멍 뚫린 도넛이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도넛 골고루 튀기려면 ‘도넛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
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2명을 추첨해 체험 기회를 주고 사용 후기를 받는다.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는데….“공군은 우주 분야의 과학자, 기술자와 한
배
를 탔다고 본다. 백짓장도 맞들면 낫다고 하듯 공군과 과학기술계가 힘을 합치면 우주 기술 발전에 큰 힘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군은 기술을 확산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지금도 공군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목성뿐 아니라 목성 위성에 대해서도 풍부한 데이터를 수 집했다. 특히 지구보다 100
배
가 강력한 이오의 화산활동은 초기 지구의 환경이 재현된 듯한 인상을 남겼다. 또 가니메데가 지구처럼 독자적인 자기장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위성으로는 최초의 예다.2001년 10월 15일 갈릴레오는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67
배
의
배
율로 달 표면이나 행성을 관찰하기 충분하다. 제품 하나로 망원경의 원리를
배
우며 직접 만들고 관찰하니 일석삼조(一石三鳥)다.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찰하기 전에 미리 물체를 관찰하는 연습을 하자. 망원경의 상은 상하좌우가 반대로 맺히기 때문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밤하늘의 천체를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 방법을 쓰면 암호를 해독해 데이터를 계산하는 경우보다 1억
배
정도로 시간이 더 든다. 물론 새로운 개념이 나타났을 때 실용화까지는 아득해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속도향상에 뛰어들면 언젠가는 현재의 암호 체계를 대체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인천에서는 아귀를 물텀벙이라고 불렀다. 그물에 아귀가 걸려들면 쓸모없는 고기라
배
밖으로 던져버리는데, 물에 빠지면서 텀벙텀벙 소리를 낸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 아귀는 육지로 올라와도 찬밥 신세였다. 거름용으로밖에 쓰지 못해 바닷가에 그대로 쌓아두곤 했다. 이런 이야기까지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없애는 실증실험을 하는 설비입니다. 실제로 구현될 경우 실증실험 결과보다 5000
배
이상의 성능이 보장되죠.”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하는 과정은 핵변환로 ‘피서(PEACER)’에서 구현된다. 여기에서 중저위화된 폐기물은 땅속에 안전하게 버려지고, 남은 것은 다시 피서에서 재처리되는 ‘파이로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보여 주고 있다. 위의 사진은 2006년 7월(왼쪽)과 2007년 7월(오른쪽)에 알래스카 주
배
로시 항구를 찍은 것으로, 빙하로 뒤덮였던 항구 앞바다가 1년 뒤에는 빙하가 모두 사라져 검게 나타나 있다. 위성사진을 분석해 보니 1년 만에 100만㎢의 빙하가 사라진 것으로 드러났다.해수면이 올라간다!유엔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