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박
복부
범선
돛단배
선
용기
기량
d라이브러리
"
배
"(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분야는 없어지지 않을 거예요. 특히 선진국에서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비행기,
배
등이 모두 교통공학의 대상이 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여러 도시에서 지능형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지금은 사람이 부족해요. 일은 많은데 교통공학을 하는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거든요.”현재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로켓뿐 아니라 극초음속 비행기에서도 중요하다. 스크램제트 비행기인 X-43이 음속의 7
배
의 속도에서 어떻게 견디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왼쪽)과, 컴퓨터 충격파 해석 실험(오른쪽).최고 속도? 1만℃의 온도를 견뎌 봐~!오늘날 극초음속을 연구하는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추진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밤, 밥을 해 먹긴 귀찮고 밖에 나가기도 번거로울 때 선택하는 음식‘라면’. 심지어
배
가 고프지 않아도 라면 냄새가 나면 금세 먹고 싶어진다. 쫄깃쫄깃한 면발과 얼큰한 국물의 맛이 머릿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2007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은 1년에 75개의 라면을 먹는 것으로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경향이 있습니다. 1만 원권이 사용된 지난 36년 동안(1973년∼2009년) 소비자물가는 무려 14
배
나 뛰어 올랐습니다. 돈의 가치는 낮아지고 물가는 계속 오르는 상황이 이어지면 가계살림은 어려워지고 기초생활에 필요한 지출부담은 커지게 됩니다.둘째는 세뱃돈 재테크는 일찍 시작할수록 좋다는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껍질과
배
젖,
배
아로 분리한다. 단단하고 맛없는 껍질과
배
아는 버리고
배
젖만 남긴다.
배
젖을 으깬 반죽(카카오 매스)을 데우면 상온에서 고체였던 카카오 버터가 녹아 흘러나온다. 카카오 매스와 카카오 버터를 55~60℃로 따뜻하게 데워 설탕과 분유, 유화제와 함께 섞는다. 너무 뜨거우면 유화제의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튕겨나가는 걸 막기 위해 벽 높이를 50cm 이상 세운다. ※ 주목할 선수 봅슬레이 강광
배
38·강원도청한국에서 썰매 종목을 개척한 그의 노력은 눈물겹다. 스키강사로 일하다가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부상을 입었지만 이듬해 루지 선수가 돼 1998년에는 나가노 동계올림픽에 출전, 이후 또 다시 부상을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소설로도 탄생했다. 연한 갈색인 큰가시고기 수컷은 산란기가 되면 푸른색으로 변하며
배
부분이 붉어진다(혼인색). 3~4월이 되면 연안에 살던 수컷은 신붓감을 찾아 하천으로 올라와 먼저 집을 장만한다. 물풀이나 지푸라기로 동굴 모양의 신혼집을 꾸민 뒤 암컷을 유혹한다. 암컷은 수컷에게 나타난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특수 장치가 준비돼 있다. 또
배
를 제자리에서 180°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그런데도
배
가 옴짝달싹 못하게 될 경우 함께 항해하는 더 큰 쇄빙선에게 도움을 구하면 된다.”●제2 남극기지의 후보지로 꼽히는 케이프벅스와 테라노바베이에서는 어떤 활동을 벌이게 되나.“우선 대륙기지 후보지의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통해 그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주에는 암흑물질이 빛을 내는 물질보다 6
배
나 더 많이 존재한다. 우주에서 아주 흔한 존재가 암흑물질인 셈이다.류 씨는 암흑물질을 이용할 수만 있다면 어마어마한 무게의 연료를 싣지 않고도 우주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우주선을 개발할 수 있을 ... ...
자와 컴퍼스만으로 각 삼등분하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지만 알고 보니 그 논문에서 증명한 내용은 각을 셋으로 나누는 게 아니라 세
배
로 곱하는 것이어서 수학적으로 전혀 틀린 곳이 없었다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었다.전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삼국시대에도 이차방정식이나 일차 연립방정식 정도는 풀 수 있었다. 2000년 전에도 사람들은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