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종만 수료한 15개 팀은 각각 ‘수원청개구리상’, ‘제비상’, ‘귀화식물상’, ‘화분매개자상’을 특별상으로 받았답니다. 국립수목원에서 주최하는 ‘우리동네 귀화식물지도 프로젝트’의 대상은 닥터구리팀이 받았어요. 최우수상은 라이노비틀즈팀, 우수상은 준형제팀, 특별상은 블루드래곤,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대표단과 열린자세로 토론해야만 더 나은 결의안이 도출된다는 것을 배웠어요. 또한, 개별 국가가 아니라 전세계가 함께 환경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사실도 알게 됐어요. 저는 육지 동물이 처한 문제를 알아볼 수 있는 ‘육지 생태계 위원회’에서 독일 대표단이 됐어요. 오래 전 부터 곰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위해 나아가다→무역’의 뜻을 갖게 됐지요. ‘바꿀 역(易)’은 도마뱀의 머리(日)와 4개의 발 또는 몸(勿)의 모양을 본뜬 한자예요. 도마뱀이 몸의 빛깔을 잘 바꾸는 모습을 보고 만들어졌어요. 바람 풍(風)’은 ‘무릇 범(凡)’과 ‘벌레 충(虫)’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무릇 범(凡)’은 바람에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도시를 ‘메가시티’라고 하는데, 2015년 기준 메가시티는 서울을 포함해 전세계에 36개나 된답니다. 하지만 메가시티는 엄청난 양의 자원을 써서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교통 체증, 주택 부족, 높은 범죄율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어요. 에너지 소비량이 많으니 당연히 기후변화에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있지요.“드론은 활주로 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뜰 수 있어요. 또 헬리콥터와 달리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구 모양의 ‘모션플랫폼 시뮬레이터’에도 탑승해 봤어요. 모션플랫폼 시뮬레이터에는 게임기처럼 생긴 드론 컨트롤러가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에디슨이 최초의 백열전구를 만들었어요. 이후 효율이 좋고 밝은 빛을 내는 조명이 계속 개발되면서 현재는 형광등과 LED 등 다양한 조명들이 쓰이고 있어요. 이 덕분에 사람들은 밤에도 안전하게 다닐 수 있게 됐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어요. 조명 빛이 대기 중의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면서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밤을 사람들에게 알리는 거예요. 현재까지 미국과 독일, 스페인, 영국 등 전세계 30여 개 지역이 지정돼 보호받고 있어요. 우리나라는 2015년 아시아 최초로 경상북도 영양군에 있는 반딧불이 생태공원 일대가 국제 밤하늘 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세계자연기금(WWF)에서는 200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재미있는 제작물이 나오면 가까이 가서 함께 작동해 보기도 하고, 앱(App.)을 개발한 대원은 자리를 옮겨다니며 직접 시연하기도 했답니다. 대원들은 처음에 구상했던 아이디어와 제작 결과물이 진행 과정에서 어떻게 달라졌는지 설명했어요. 메이커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더 해 보고 싶은 점을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염증에감염되면서 생긴 흔적이라고 추측했어요. 특히 머리뼈화석 하나에 상처 23개가 있는 경우도 있었는데, 박치기 이외에 다른 행동으로는 생기기 힘든 것으로 보았답니다. 하지만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머리뼈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어요. 종끼리 서로 알아보거나, 같은 종 안에서 짝짓기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사는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큐브샛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주로 나가는 큐브샛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우주쓰레기의 궤도를 낮춰라!큐브샛은 궤도에 따라 머물 수 있는 시간이 달라요. 궤도가 ... ...
이전4104114124134144154164174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