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합니다. 가상현실이나 모션캡처 같은 기술이 디즈니 리서치에서 시작됐죠. 최근에 나온 영화 ‘정글북’만 봐도 이런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주인공인 모글리 역의 ‘닐 세티’를 제외한 모든 동물 캐릭터와 배경이 되는 정글을 100%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해 냈으니까요 ... ...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원청개구리가 멸종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며 수원청개구리 복원사업이 시작됐어요. 장 교수팀은 지난해 농어촌공사의 지원을 받아 일월저수지 한쪽 구석에 인공서식지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7월, 8월 2차에 걸쳐 연구실에서 키운 수원청개구리의 어린 성체 150마리를 일월저수지에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무척 놀랍다고” 이야기했어요.참가자들은 먼저 크레파스를 색깔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시작했어요. 다양한 색이 섞여 있는 몽당 크레파스를 빨주노초파남보 그리고 갈색 이렇게 8가지 색으로 나누었지요. 이렇게 나눈 크레파스를 작은 냄비에 넣고 녹인 뒤, 크레파스 틀에 붓고 약 10여 분 동안 ...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컴퓨팅 사고’에 대해 조금씩 깨닫기 시작했어요. 컴퓨팅 사고는 일을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말하지요. 이때 꼭 필요한 과정이 ‘알고리즘’이랍니다.컴퓨팅 사고에서는 주어진 문제들을 분석하고 가장 최선의 해결 방법을 찾는 과정이 있어요. 알고리즘은 이렇게 찾은 해결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야생에서 처음으로 새끼를 낳은 거예요. 1980년에 멸종된 우리나라 토종 여우는 2012년에 시작된 복원사업으로 32마리가 야생으로 돌아갔지요. 하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다치거나 죽은 채 발견되기만 했답니다. 그러다 올해 초 방사된 여우가 처음으로 야생에서 새끼를 낳은 게 발견된 거예요.게다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야구왕 ‘ 베이스 보리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제대로 된 야구경기를 할 수 있을 거예요. 도와 줘요 썰렁홈즈!”제대로 된 야구경기가 시작되자 썰렁홈즈는 비로소 좋아하는 야구경기를 보려고 관중석에 자리를 잡았다. 바로 그때! 구단에서 팬들을 위해 치킨을 나눠 준다는 안내 방송이 나오고, 썰렁홈즈도 허기진 배를 채우려고 치킨을 받으러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은 풀이나 나무가 싹트는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예요. 식물이 태어나다는 의미에서 시작해 이후 살다, 낳다 등 생물에 관련된 다양한 뜻을 지니게 됐답니다. 살아 있는 생물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요. 또 사람이나 백성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답니다. 몸 체(體)는 ‘뼈 골(骨)’과 ‘풍성할 풍 ...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이 존재감을 화끈하게 드러냈다면, 당연히 독자 여러분도 관심이 생기겠지요?시작은 좋았으나, 소문대로 어렵긴 어려웠습니다. 담당 기자가 내용을 이해하느라, 가능한 쉽게 표현하느라 며칠 동안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결과물이 쉽지는 않습니다. 한 가지 믿는 건 있습니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채 남아 있다가, 2006년부터 2, 3차원의 위상학적 부도체 이론이 발전하면서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논문의 중요성을 가늠하는 척도 중 하나가 피인용 횟수인데, 2006년까지 매년 10회 미만으로 인용됐던 홀데인의 논문은 그 이후 피인용 횟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작년에만 400회 가까이 인용됐다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라지고 작은 곤충만 남았다는 의미다. 지구의 산소 농도는 고생대 말기부터 높아지기 시작해 중생대 쥐라기에 다시 낮아지고, 백악기에는 다시 지금보다 높아졌다. 실제로 거대 곤충이 살았던 시기와 이 시기가 일치한다.물론 산소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