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부족했어요. 그런데 이런 저런 걱정만 하다 보면 창업을 할 수 없겠더라고요. 일단
시작
하자는 마음으로 회사를 그만두고 나왔죠. 일을 저지르고 나니 거짓말같이 문제가 하나둘 해결됐어요.아무래도 절박하니까 더 열심히 일을 했지요. 여러 군데 문을 두드리다 보니 넉넉하진 않지만 돈이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그래도 한 가지 희망은 화산 연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점점 확산된다는 점이다.
시작
은 2010년 봄 아이슬란드의 에이야퍄들라 이외퀴들 화산 폭발이었다. 당시 마그마가 빙하와 만나 폭발하면서 화산재가 대기 중에 다량 방출됐다. 이로 인해 일주일이 넘게 유럽의 하늘길이 막혔다. 사람들이 지구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발화지점에서 가장 먼 지점도 256℃까지 상승했다. 발화지점이 아닌데도 종이벽지가 타기
시작
했다는 뜻이다. 또, 발화지점의 종이벽지에서 탄소가 가장 많이 검출됐고 발화지점에서 멀수록 탄소가 적었다. 이 조사관은 “사실 당연한 결과지만, 정량화된 데이터를 쌓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내리쳐 부순 뒤 그 속의 맛있는 속살을 먹는다. 섬에 사는 무리 중 한 개체가 이 행위를
시작
하고, 나머지 개체들이 따라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이들이 언제부터 이런 돌 도구를 사용했는지 밝히기 위해 이들 서식지 주변의 퇴적층을 조사했고, 결국 원숭이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또는 심한 죄책감이 들어서 도와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남을 돕기
시작
한다면 내 감정의 소모가 커져서 지속적으로 돕기 어려워진다. 또 타인의 감정에 지나치게 이입해 스트레스를 받다보면 오히려 이런 일을 아예 외면하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결국 남을 지속적으로 배려하고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그걸 응용하려는 연구에 앞서 독성을 측정하는 것이 바른 순서라는 생각에 융합연구를
시작
했다.좋은 샘플과 꼼꼼한 분석이 만나 최고의 ‘케미’인 교수팀은 김 책임연구원팀에게 독성평가에 적합한 최적의 황화납(PbS) 양자점 샘플을 제공했다. 황화납은 널리 쓰이는 양자점 소재 중 하나로, 인 ... ...
[과학뉴스]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비롯한 국제연구팀은 2013년부터 전세계 바다에 사는 두족류의 개체수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
했어요. 또한 전세계 어업 활동 등의 자료도 수집해 분석했어요. 그 결과, 1953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바다에 사는 두족류 35종의 개체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답니다.연구팀은 사람들이 ... ...
[퍼즐탐정 썰렁홈즈] 파충류 전문가 ‘ 배아미 왓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거예요.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을 통과해야해요. 당장 코브라의 방부터
시작
이에요!” 코브라의 방을 지나 들어간 곳은 보아뱀의 방. 그런데 이곳엔 각종 물건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어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보아뱀이 우리를 나가면서 제 물건 중 하나를 꿀꺽 삼킨 게 분명해요. 그게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자르며 놀더니 결국….”갑자기 지원군 선배가 나타나 식물의 뿌리에 대해 설명하기
시작
했어요.“그러니까 식물의 뿌리는 말야….”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뿌리는 나무의 다리!‘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조선시대 세종대왕 때 집현전 학자들이 쓴 ‘용비어천가’의 내용 중 ... ...
[지식] 아름다운 수학을 탐험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김 교수의 마음을 빼앗은 걸까? “수학의 피라미드가 있고, 제가 가장 꼭대기 한 점에서
시작
해서 아래로 펼쳐지면서 탐험하는 느낌이었어요. 간단한 정의 몇 개와 추론으로 어려운 정리들을 증명해 낼 수 있는 게 신기하기도 하고, 심오하기도 한데 아름답기도 했거든요. 아름다운 질서가 많은데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