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상에 사는 여러 생물 중에서 정서적, 의식적으로 인간과 교감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도 개는 대단히 특별한 동물이다. 인간의 친구가 될 수 있는, 개만이 가진 이 독특한 능력은 과연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개의 조상은 늑대다. 1만여년 전부터 인간이 늑대를 가축으로 키우면서 점차 개로 진화돼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013년 크리스마스 이브의 늦은 밤. 두 아이의 엄마인 K씨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아이들에게 줄 크리스마스 선물로 최신형 전동자동차 장난감을 구입했다. 그녀가 결제를 마치자 모니터에는 ‘프린터에 폴리머 카트리지 c2000을 넣으시오’라는 메시지가 떴다. 카트리지를 교체한 후 모니터에는 ‘인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어느덧 다윈의 식탁 넷째날이 밝았다. 내일 하루는 쉬고 그 다음날에는 굴드와 도킨스가 런던으로 자리를 옮겨 자신들의 최근 저서에 관한 공개 강연회를 갖고 곧바로 종합 토론에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에 오늘이 주제 토론으로서는 마지막이다. 예고된 대로 오늘은 ‘진화와 진보’, ‘생명의 미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903년 12월 17일 윌버 라이트와 오빌 라이트는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는 미국 키티호크 해변에서 목숨을 건 일생일대의 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몇명의 구경꾼들이 모여든 가운데 자신들이 만든 플라이어(Flyer)호를 떨리는 손길로 점검하는 이들 형제의 모습은 초라해 보였다. 그러나 잠시 뒤 라이트 ... ...
한국영장류연구소 출범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인간은 누구며 어떻게 만물의 영장 자리를 차지하게 됐을까? 인류는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해왔다. 영장류의 언어와 행동, 그리고 인지능력을 연구하는 영장류학(primatology)도 그런 시도들 가운데 하나다.영장류의 눈높이에서 보면 인간은 1천만년-5백만년 전에 침팬지와의 공통 조상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후우후우후후∼” 제인 구달 박사는 강연을 시작할 때 언제나 청중들에게 이렇게 ‘팬트 후트’(pant hoot)로 첫인사를 한다. 팬트 후트는 침팬지들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서로의 존재를 알리는 소리로서 침팬지마다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우리나라도 고속철도를 운행하는 나라의 대열에 진입한다. 고속철도 시대를 눈앞에 둔 최근 차세대 한국형 고속전철이 경부고속철도 시험선구간에서 시속 3백km를 돌파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순수 우리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고속전철은 고속철도 설계기술과 ... ...
민간 우주여행선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지난달은 선저우 5호로 우주비행에 성공한 중국의 양리웨이가 뉴스의 초점이었다. 하지만 이런 우주비행은 40년전 러시아의 유리 가가린이 이미 시도한 바 있는 낡은 것이다. 이렇게 오래된 유인 우주비행 기술을 재현하기 위해 중국은 23억달러의 비용과 1만여명의 최고 인력을 총동원했다. 그만큼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내가 난생 처음으로 바라본 바다였다/희디흰 목덜미를 드러내고/끊임없이 달려오던 삼각파도였다”마치 자신이 정호승 시인이라도 되듯 친구는 ‘첫 키스에 대하여’ 열을 내며 말해주지만 난들 어찌 알겠습니까, 그때 그곳에서 파도를 본 것은 내가 아닌 걸요. 안 그래도 겨울비가 내려 스산한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광주과학기술연구원의 백운출 석좌교수(69). 백 교수는 광통신 분야의 개척자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석학이다. 백 교수는 미 통신회사 AT&T의 벨연구소에서 22년간 근무했다. 벨연구소는 노벨상 수상자를 11명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소다.백 교수는 이곳에서 현재 광통신 분야의 핵심적인 기술인 광 ... ...
이전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4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