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에스허르의 삶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곳곳에서 에스허르가 남긴 수학 예술 작품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한 예로, 미술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은 곳인 하를렘에는 그가 ‘지역 물관리 본부’라는 공공기관에 만들어 준 장식용 기둥이 남아 있다. 반복되는 패턴을 원기둥에 두른 이 작품은 지역 물관리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탐사하세요집과 학교, 공원 주위를 돌아다니며 열심히 화단을 관찰해도 도시에서 꿀벌을 발견하기가 쉽지는 않을 거예요. 그렇다고 실망해서포기하거나 너무 무리하게 탐사하지는 마세요. 꿀벌이 아직 없다는 사실도 중요한 정보니까요. 도로 옆에서는 특히 자동차를 조심하고, 꼭부모님과 함께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는 전자는 공간의 여기저기에 존재할 수 있으며, 양자역학은 특정 위치에서 전자가 발견될 확률만을 제공한다. 그래서 양자역학을 이용해 그린 원자그림을 보면, 전자가 원자핵 주위에 구름처럼 뿌옇게 흩어져 있다(138쪽 슈뢰딩거의 모형 참조).하지만, 이런 확률적 해석에 대해서는 치열한 논쟁이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2종이 발견됐다.그런데 나무토막에서는 이 종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분해 흔적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온대지방 해저에 가라앉은 나무토막이 반 년 만에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토막 유입이 전혀 없었다”며 “나무를 처음봐서 생물이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먼 여정이 남은 셈이다. 물론 그 때는 지구와 통신이 끊겨 보이저 1호가 오르트 구름을 발견해도 우리는 알 수 없을 것이다.과연 오르트 구름은 정말 있을까. 태양권 너머에는 우리가 모르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보이저 1호의 앞으로의 행방이 더욱 궁금해지는 이유다.황정아카이스트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날개에 깃털을 빽빽하게 채우면 비행 효율성이 무려 15%나 올라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고 비행기 날개에 깃털을 달 수는 없지만 오돌토돌한 돌기를 붙이는 방법은 생각해볼 수 있다.다시 시조새 논쟁으로 돌아가 보자. 오언은 논쟁에서는 졌지만 돈만 보면 꽤 남는 장사를 했다. 오언은 ... ...
- 오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마련하면서 명왕성은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왜행성으로 강등됐죠. 명왕성이 최초에 발견된 1930년대에는 지구 정도의 크기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달보다도 작았습니다. 질량과 중력이 행성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공전 궤도 또한 심한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기 때문이었지요.이런 슬픈 운명을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중이지만 쉽사리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 앞서 얘기했듯 배터리의 발달은 새로운 물질의 발견에 크게 의지하는 만큼 빠른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잠깐. 그럼 이 말은 한나절도 못가 뻗어버리는 스마트폰 배터리를 앞으로도 한동안은 죽 써야 한다는 뜻이 아닌가!와이파이 쓰듯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알아낼 수 있다.벽에 걸린 사진은, 최근 감정을 담당하는 대뇌 변연계에서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발표해 큰 반향을 일으켰던 4개의 ‘감정 조절 섬유’였다(7월호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참조). 최고의 장비로 만든 가장 상세한 뇌 영상에서 찾은 최초의 성과다. 조소장이 ‘우리나라가 ... ...
- 죽었다가 부활한 ‘나사로 혜성’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나왔다.콜림비아 아니토퀴아대 연구팀은 화성과 목성사이의 소행성대에서 혜성 12개를 발견했다. 이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수백만 년 전 소행성대가 혜성으로 가득 차 있었다는 가설을 세웠다. 오늘날 보이는 혜성은 화려했던 과거의 잔여물이라는 것.혜성은 지름 수km에 달하는 천체로,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