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생활을 시작한 쥐트호프는 혈관에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를
발견
하게 된다. 이 성과를 포함해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대한 연구로 그의 지도교수였던 마이클 브라운과 조셉 골드스타인은 앞서 말한대로 1985년 노벨상을 받게 된다. 27년이 지나 이번엔 쥐트호프가 받게 되니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근무하고 있던 의료진은 18건의 “폭풍 같은” 성기접합수술을 치르며 중요한 사실을
발견
했다. 수술 중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환자가 회복 후에 발기 불능 같은 여러 후유증을 앓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그림과 사진을 예로 들며 접합수술 방법을 아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 ...
당신이 악당에게 연민을 느끼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소설 ‘빅픽처’(사진)를 읽다보면 옆집 남자를 살해한 주인공을 동정하는 자신을
발견
하곤 놀라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 우리 뇌는 영화나 소설 속에 등장하는 악당에게 더 공감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글렌 폭스 박사팀은 공감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좋아하는 ... ...
박쥐의 ‘나뭇잎 보청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그 결과 집 안쪽에서 잴 때 바깥의 소리가 최고 10dB(데시벨)만큼 크게 들린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소리가 거의 10배 증폭된다는 뜻이다. 반대 경우는 약 1.3배 정도 크게 들리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 집이 박쥐가 먼 곳의 동료와 대화할 때 쓰인다고 추측했다.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1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훨씬 크고 빠른 소용돌이가 육각형을 이루며 회전하고 있다. 1980년에 보이저 1호가
발견
한 이후 33년 만에 소용돌이의 전체 모습을 온전히 촬영한 것이다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붙여놓았던 센서로 들어오는 전기 신호 주기가 늙은 쥐일수록 느리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
했다. 이에 연구진은 규칙적인 전기신호를 내는 동방결절을 쥐의 심장에서 분리했다. 심장이 규칙적으로 뛸 수 있는 건 동방결절에서 나오는 전기신호 때문이다.연구팀은 늙은 쥐의 심장에서 분리한 ... ...
아이손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유로 태양을 향한 긴 여행을 시작했다가 토성을 지나 목성궤도를 지나올 때쯤 처음
발견
됐다. 혜성이 이미 코마에 둘러 싸여 있어 핵을 직접 관측할 수는 없었지만,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최대한 관측해 추정한 아이손 혜성 핵의 크기는 400m~2km쯤 된다. 아이손 혜성은 보통 크기의 혜성으로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털진드기는 치사율이 높은 ‘츠츠가무시병’을 일으킨다오. 단 츠츠가무시병은 조기에
발견
하면 완치율이 90% 이상이니 너무 무서워할 필요는 없소. 또 집먼지진드기는 천식이나 비염같은 알레르기 질병을 일으키지.우리가 옮기는 병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라고 하는데, 사람을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바다 소용돌이에서도 빛이 튕겨져 나가거나 빨려 들어가는 블랙홀과 같은 특정 장벽을
발견
했다. 게다가 바다 소용돌이의 장벽을 만난 물은 소용돌이 주변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블랙홀에서 빛이 튕겨져 나가는 경로와 비슷했다.연구팀은 “소용돌이의 이동은 기후 변화 및 해양 생태계에 큰 영향을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위로 띄우는 힘으로, 그 세기는 수면 밑으로 잠긴 부분 만큼의 물 무게와 같다. 이 현상을
발견
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였던 아르키메데스의 이름을 따서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라고 부른다.미국의 수영 황제 펠프스는 다리가 짧아서 유리하다는 사실을 아니? 키는 193cm나 되는데, 다리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