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넘겨 받는 대신, 대전에 핵융합 실험로를 짓겠다는 내용이었다. 1996년의 일이다.
이후
제안이 받아들여져 2007년 한국형 차세대 핵융합 실험장치가 완성됐다. 이것이 KSTAR다.우리나라는 이듬해인 2008년 플라스마 발생 실험에 성공하며 단번에 핵융합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실험로를 건설한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거리를 곱해 구한다. 이 방법을 계속하면 오직 두 지점 사이의 거리만 직접 측량하고,
이후
에는 새로운 지점을 바라보는 각만 측정해 계속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물론 실제로는 몇 번 반복하면서 실제 길이를 측정해 측량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를 점검한다. 우리 손에 넘겨진 삼각법히파르코스는 ... ...
잘 쓰면 약,못 쓰면 병 되는 금융연금술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파산시키고, 세계 경기의 침체와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증대돼 2008년 하반기
이후
전 세계의 실물경기를 위축시킨 사건이다. 우리나라도 환율 급등과 주가 폭락이 발생해 경제 몸살을 앓았으며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금융위기를 벗어나 세계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붙은 수컷과 암컷이 한 쌍을 이뤄 ‘칠만이’라는 암컷 새끼를 부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로도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을 늘리기 위해 노력한 결과, 넓은 우리 안에 어린 황새를 넣어서 사회화 훈련을 하면 번식률이 크게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방법을 도입하자 2~3년 만에 5쌍의 황새가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처하기도 했다. 이런 극단적인 동성애 혐오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에서 동성애로 처형된 사람이 4000명을 넘는다고 한다. 최근 아프리카 우간다의 한 신문은 동성애자를 처형하라며 동성애자 100명의 이름과 사진을 싣기도 했다. 동성애자를 상당히 포용하는 서구의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두뇌는 현대의학이 마음대로 다루기에는 아직 너무 복잡한 기관이다. 그 일부가 손상된
이후
이를 다시 재생시키는 것은 더욱 어렵다. 기억을 도와주는 원시적인 도구들(일기장, 사진첩,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활용하는 알람 등)은 클레어같은 기억상실증 환자가 그들의 병마와 싸우는 것을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는 없는 게 아닐까. 사상의학은 한국판 맞춤의학 2000년 인간게놈초안이 공개된
이후
염기 서열분석방법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개인 게놈시대의 막이 오르고 있다. 이미 수천 명의 게놈이 분석됐고 머지않아 사람들은 자신의 게놈정보를 갖고 개인별 맞춤치료를 하는 시대가 오리라는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꿈을 이뤄주고 싶었다. 다시 그 꿈을 이루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챌린저호
이후
미션이 재개된 것은 975일 뒤, 콜롬비아호는 907일 뒤였다. 두 사고 후에 처음으로 발사대에 선 것이 모두 나다. 나는 우주왕복선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꼭 안전하게 임무를 마치고 돌아와야 했다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영향이 응축돼 있다.숨 가쁜 시대가 직관을 낳다 만델브로는 아슈케나지 유대인(중세
이후
독일 부근의 중유럽에 정착한 유대인 집단) 출신이었다. 그의 성(姓)인 ‘만델브로트(Mandelbrot)’부터가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디저트로 즐겨 먹던 ‘아몬드빵’을 일컫는 말이다. 그의 집안은 거대한 유대인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전국 54개 지역 711개 읍·면·동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업이 본격화된 지난 2005년
이후
생활과학교실에 다닌 학생들은 21만 6400여 명 정도다. 올해는 9월말까지 3만 4400여 명이 열린과학체험에 참여했다.‘생활과학교실’의 각종 프로그램은 지역 별로 책임 운영기관이 자체적으로 기획한다. 체험과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