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처음 품은 것은 아주 오래 전, 지구가 둥근지 평평한지도 모르던 시절의 일이었다.
이후
지구와 우주에 대한 지식은 점점 늘어났고, 20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수백 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증거를 찾는 수준에 이르렀다. 생명의 기원을 밝히고 지구 밖 생명체를 향해 다가서는 인류의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길고양이는 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간다. 길고양이는 생후 3개월
이후
에도 살아 있을 확률이 30%에도 못 미친다. 고양이가 사람을 보고 도망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사람이 무섭고 위협적이며, ‘천적’이기 때문이다.고양이도 인간과 똑같이 지구의 생명체로 태어나 같은 연대를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걸어 나갈 수 있습니다. 2000년 일본 혼다자동차가 최초의 두발로봇 ‘아시모’를 발표한
이후
로봇 휴보, 일본산업기술연구소(AIST)의 ‘HRP 시리즈’, 도요타 자동차의 ‘파트너’ 등 수많은 두발로봇이 등장했습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어느 곳이나 예외 없이 휴보와 비슷한 안정화 기술을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발달과 큰 관련이 있거든요. 수영의 경우 폴리우레탄 재질의 전신 수영복이 등장한
이후
2008년 한 해 동안 54개의 세계 신기록이 나왔어요. 탄력이 좋고 몸에 딱 붙어 물과 몸의 마찰을 줄여 주기 때문이에요.또 마라톤의 경우 첨단 섬유 기술과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가볍고 통풍이 잘 되며 충격을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두 팀 사이에 차이가 없다”면서도 “하지만 2004년 가임 교수팀의 사이언스 논문이
이후
연구의 기폭제가 된 점은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노벨상 위원회가 물리학 분야에서 기술적 응용보다는 최초의 발견에 더 후한 점수를 준다는 사실도 김 교수에게는 불리했다. 영국 아인도벤공대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장한 선 북쪽의 영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1990년대
이후
에는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침입하는 일이 잦아졌다. 1999년의 1차 연평해전에 이어 2002년의 2차 연평해전, 2009년의 대청해전에 이은 2010년의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은 이 지역의 긴장감을 전시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상징한다. 이런 항공모함이 서해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의 연평도 피격 사건
이후
대대적으로 펼쳐진 서해 한미 합동훈련에 미국의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가 참가했다. 국민들은 처음으로 서해 앞바다까지 들어온 항공모함에 큰 관심을 가졌다. 배 위에서 최신예 FA-18전투기가 뜨고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열쇠를 통해 가상현실세계 ‘그리드’로 들어가 그 안에 살고 있던 아버지와 재회한다.
이후
샘은 아버지와 함께 현실세계로 돌아오기 위해 아슬아슬한 모험을 한다. 과학동아 평점트론은 시작부터 화려한 3D 영상으로 객석을 압도한다. 실제 현실은 2D 영상으로, 가상현실은 3D 영상으로 구현 한다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은 발표
이후
논란에 휩싸였다. ‘생명의 정의를 바꿀 수 있는 대단한 발견’이라는 NASA의 주장에 여러 과학자들이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먼저 이 박테리아가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생명체는 아니라는 관점이 제기됐다. 이 박테리아는 인이 있는 환경에서 더 잘 산다. 인이 없을 때에만 차선책으로 ... ...
꼬마 우주왕복선 시험비행 성공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처음은 아니다. 1989년 구 소련이 개발해 이착륙 시험비행에 성공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개발이 중단돼 현재는 X-37B가 유일한 무인 우주왕복선으로 알려져 있다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