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다소 어려운 정리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유클리드 이후로도 많은 수학자가 2000년 동안 노력했다. 하지만 19세기에서야 공리 1, 2, 3, 4를 만족하면서 5번은 성립하지 않는 새로운 기하가 발견되면서 1, 2, 3, 4로부터 순수 논리 전개로 5를 유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유클리드 기하학은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상평통보는 1678년 숙종 때 발행돼 조선 말기에 현대식 화폐가 나오기 전까지 200여 년 동안 쓰였다.1894년 이후 엽전과 신화폐가 혼용되면서는 동전의 종류와 개수가 더 많아졌다. 그리고 그만큼 단위도 복잡해졌다. 황동 한 푼이 엽전 1문과 같았는데, 여기에 백동화 2전 5푼과 한 량 은화, 닷 량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는 최초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 에너지를 만든다. 필요한 것은 연료(중수소와 삼중수소)와 약간의 외부 에너지다. 이터는 투입되는 외부 에너지에 비해 생산되는 에너지가 약 10배 정도로 많다. 50MW(5000만 와트)의 ...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차지하는 락토바실리쿠스와 비피도박테리움의 분포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10초 동안 키스를 하면 평균적으로 약 8000만 개의 미생물이 상대방에게 옮겨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은 커플을 대상으로 평소에 키스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설문조사도 했는데, 하루에 9번 이상 키스하는 커플은 입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용한다. 야구를 통계의 스포츠라 부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와 달리 축구는 90분 동안 끊임없이 공을 빼앗기 위해 다툰다. 공격과 수비가 수시로 바뀐다. 그래서 선수의 팀 기여도를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축구에서 각 개인의 기여도를 측정하기 힘든 또 다른 이유는 바로 한 경기에 나오는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뜻이 ‘변질됐다’, ‘순수하지 않다’ 같은 비난이 일었다.필자도 개인적으로 10년 동안 기부를 해왔다. 10주년이 되던 날,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으나 꾹 참았던 적이 있다. 스스로에게는 지금까지 한 일 중 가장 잘 한 일이라고 칭찬했지만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은 왜 그렇게 눈치가 보이던지.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후 남는 폐기물을 땅 아래 안전하게 보관할 방법을 연구한 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4년 동안 미국 네바다 주 유카산 지하 300m에서 온도에 따라 유체가 암반 속을 어떻게 흐르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로 2010년 미국암반공학협회에서 암반공학 사례연구상을 받기도 했습니다.Q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모양의 데이터가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는 건지도 모른다.지구 역사 46억 년에서 생물이 등장한 시기는 지극히 짧다. 짧은 시간 동안 생물은 어마어마하게 진화했고, 인류도 그 흐름 사이에 끼어있다.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새롭게 생겨나는 염색체와 인류가 가진 시한폭탄이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비슷하다. 모내기와 추수를 거쳐 도정을 하고 밥을 짓는 것처럼, 과학전문출판사로 16년 동안 깎고 거두면서 책 한 권 한 권을 만들어 왔다. 출판사 이름을 가장 먼저 알린 것은 ‘대학교재 시리즈’였다. 기자도 학부시절 공부한 ‘써웨이(Serway) 일반물리학’이 바로 출판사의 개국공신이다. ... ...
이전4064074084094104114124134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