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뿌리 깊음
완고
깊은
고질
스페셜
"
만성
"(으)로 총 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가운데 OR2L13을 비롯해 다섯 가지의 발현량이 파킨슨병 초기 환자에서 뚝 떨어진다. 한편
만성
조현병의 경우도 후각수용체 발현 이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후각은 나중에 특화된 기능 한편 몸의 여러 조직에서 발현되는 후각수용체일수록 오래된 유전자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생리(게놈)와 맞지 않으면 평생 고생하기 마련이다. 실제 저녁형인 사람은 아침형보다
만성
적인 수면장애로 각종 대사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더 높다고 한다. 궁극적인 해결책은 일상의 조건이 바뀌는 것이다. 최근 유연근무제를 도입하는 회사가 늘고 있는 게 반가운 이유다. 이런 행운을 누리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논리적으로’ 봤을 때 둘 사이에 관계가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밀이 알르레기나
만성
염증을 일으킨다는 주장에 따라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여 보니...? - 사진 GIB 제공 2년이 다 돼 가는 지금까지 필자는 라면, 짜장면, 햄버거는 입에도 안 댔고 어쩌다 샌드위치나 빵 한두 조각을 먹는 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가려움을 느끼는 수준으로 돌아갔다. 즉 이런 약물을 나온다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만성
적인 가려움 증상을 치료할 수 있을지 모른다. 참고로 알레르기 같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가려움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는 메르켈 세포수 감소로 인한 물리적 자극에 대한 과도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14세에서 79세에 이른다. 연구자들은 변수를 없애기 위해 심신이 건강한 사람만을 골랐다.
만성
질환이 있거나 마약을 하는 경우 신경생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만에 하나 있을 변질을 우려해 사후 26시간이 넘는 시료도 배제했다. 실험결과는 전달 ‘네이처’ 논문이 없었더라도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상대방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을 견딜 수 없다고 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만성
적인 슬픔을 많이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소 세상은 이치에 따라 돌아가며 선한 사람들은 선한 결과를, 악한 사람들은 악한 결과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는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 just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위약 임상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포르투갈의 연구자들은 석 달 이상 통증을 호소한
만성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정직한 위약 효과를 보는 임상 참여자를 모집했다. 참가자들은 위약 효과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임의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쪽만 3주치 위약을 받았다. 약통에는 ‘위약(placebo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겹치는 면이 많은데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 책을 보면 자가면역질환의 전조증상으로
만성
피로, 두통, 메스꺼움 등을 들고 있는데 현대인들이라면 다들 겪고 있는 것들이다. 어쩌면 우리 몸 안에서 면역계가 우리 자신을 조금씩 허물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걱정이 된다. 앞으로 더욱 바른 생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즉 동주시대 여성의 경우 두개골에 이상이 있는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영양부실에 따른
만성
빈혈로 인한 증상이다. 즉 안구를 감싸는 뼈인 눈확의 위쪽이나 두개골에 구멍이 숭숭 뚫린 골다공증을 보이는 비율이 동주시대 여성에서 훨씬 높았다. 반면 양사오문화에서는 이런 비율이 낮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충분히 잘 수 없는 상황이고 이삼십 대 청장년들은 이런저런 일과 놀이로 너무 바빠 역시
만성
적인 잠 부족 상태에 있고 지나친 스트레스로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도 적지 않다. 중년에 접어들어 이제 그다지 바쁠 것도 없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수면의 질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모든 여건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