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뿌리 깊음
완고
깊은
고질
스페셜
"
만성
"(으)로 총 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수면과학의 발전으로 이 말은 아침형인 사람에게만 해당할 뿐 저녁형에게는 오히려
만성
수면 부족으로(일찍 잠들기 어려우므로)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저녁형인 사람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게 건강한 수면 습관이다. ‘세 끼 가운데 아침을 잘 먹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100년 ... ...
[두통인구 100만 시대]⑤ 진통제로부터 해방(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아동병원과 서던캘리포니아대 의대 공동연구팀도 수행했다. 연구팀은 VR이 두통과
만성
두통은 물론, 암이나 화상 등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 데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음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통증에 대한 역치가 커지고 내성이 생기면서 줄어든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 ...
[프리미엄 리포트]‘어떻게 죽음을 맞이할까’를 생각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맞이할 기회를 빼앗는다. 암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만성
폐쇄성호흡기질환,
만성
간경화를 겪고 있는 말기 환자나 질병 제한 없이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라면 담당의사와 해당 분야 전문의 1인의 판단하에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 지금 심각한 병에 걸리지 않았더라도 자신이 ... ...
목이 칼칼, 눈은 따끔… ‘역대 최악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기관지 점막에 달라붙으면서 조직을 손상해 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다"며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폐질환(COPD) 등 호흡기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건강보험공단의 연구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10μg/㎥ 증가할 때마다 천식환자와 COPD 환자가 증가했다. 최 교수는 "목 안이 건조해지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졸려도 1년만 참자”고 다독이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그 뒤 수면의 과학은
만성
적인 수면부족이 학습과 기억에 악영향을 미침을 밝혀냈다. 당시 선생님 가르침대로 엄청난 의지로 잠을 줄여가며 공부를 했는데 현대 과학은 “그래서 당신 학력고사(오늘날 수능에 해당) 성적이 안 나온 ... ...
“정부는 왜 남북교류에서 과학기술을 뺐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10
있지만, 북한은 총 생산량은 남한 자체 생산량에 버금가는 수준임에도 수입이 불가능해
만성
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자연재해에도 취약하고 수확 뒤 손실률이 최대 15~20%에 이를 정도로 많다.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연구관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해 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사람들이 채소를 잘 먹지 않아
만성
적인 부족 상태에 있다. 최근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만성
적인 부족은 사망률 증가와 함께 DNA 복구 능력 저하, 암(특히 폐암) 위험성 증가, 심혈관계질환 증가와 연관돼 있다. 또 비타민D를 활성형으로 바꾸는 데도 필요하다. 두 번째 범주는 ‘조건부 비타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뜻으로 치명적인 결함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더 이상 경고신호가 아닌
만성
통증에 시달리고 있고 따라서 Nav1.7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약물을 찾았는데 Ssm6a가 걸린 것이다. 즉 Ssm6a가 진통제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 생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에서 마약 진통제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그 결과 유럽인의 경우 2014년 태어난 사람은 2006년에 태어난 사람에 비해 노년에
만성
질환에 시달리는 기간이 2~3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제공 네이처 필자는 얼마 전 (다른 곳에 실을) 노화와 관련된 에세이를 준비하며 읽은 글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그래프를 본 적이 있다. 즉 유럽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굶주림이 일상이었던 시절을 보낸 인류는 20세기 중반 이후 배고픔에서 벗어나
만성
적인 영양과잉에 ‘시달리고’ 있지만(물론 지구촌 곳곳에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다) 우리 몸의 짠돌이 기질은 여전하다. 그 결과 오늘날 비만이 만연해 있다. 비만이 만연해 있는 현대사회..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