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5건 검색되었습니다.
5학년도 이해할 수 있는 중력파...쉽게 풀어낸 중력파 Q&A
동아사이언스
l
2017.10.17
[우주 기원 밝히는 신호 찾았다! 중성자별 충돌로 발생한 중력파 첫 발견] ☞ 지구로 중력파 보낸 천체 위치, 처음으로 확인됐다 ☞ [연구의 의미] 우주 보는 ‘중력의 눈’ 위력 확인해... 중성자별 세밀하게 밝힌 것도 의의 ☞ [참여 연구자가 말한다] “멀리 떨어진 중성자별 관측 가능해져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중력파의 존재 가능성에 힘이 실리게 됐다. 1970년대에는 간접적인 증거도 나왔다. 미국의
천문학자
인 조세프 타일러와 러셀 헐스가 거대한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질량이 매우 높은 한 쌍의 별 ‘더블 펄서’를 관측한 것이다. 이들은 두 별이 속도를 높이며 서로의 주변을 돌면서 에너지를 잃고 점점 ... ...
[2017 노벨 물리학상] 중력파 검출한 킵 손, 배리시, 바이스에 돌아가 (상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3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명예교수 - Keenan Pepper 제공 라이너 웨이스 미국 매사추에츠공대(MIT) 명예교수. - Michael Hauser 제공 배리 배리시 라이고-비르고 과학협력단 초대 단장 - R. Hahn 제공 2017년 노벨 물리학상은 모처럼 많은 사람들의 기대와 예상을 빗나가지 않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 ...
[2017 노벨 생리의학상] 생체 시계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2017.10.02
자신이 속한 환경에서 하루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상하고 적응하며 살아간다. 18세기
천문학자
장-자크 도르투 드 메랑(Jean Jacques d’Ortous de Mairan)은 식물 ‘미모사’가 낮에는 태양을 향해 잎을 펼치고 있다가 어두워지면 잎을 오무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미모사가 계속 어두운 환경에 ... ...
블랙홀 충돌로 네 번째 중력파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옳았음을 알린 중력파가 또 검출됐다. 미국과 이탈리아에 있는 중력파 관측소의 국제 협력 연구 결과다. 미국 라이고 과학협력단과 이탈리아 비르고 협력단은 8월 14일 오후 7시 30분 43초(한국 시간)에 블랙홀 2개가 합쳐지면서 발생한 중력파 GW170814를 검출했다 ... ...
제주 하늘 아래서 일식 체험 함께 나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교수는 일식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걸스로봇 제공 이명현 갈다 대표는
천문학자
의 꿈을 꾸는 어린 시절부터 연세대 천문학과 교수를 거쳐 과학책방 주인으로 변신한 스토리를 소개한다. 천체사진 전문 작가이자 호빔천문대 대장인 황인준 작가는 미국에서 찍어온 사진을 공개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물질 유입 메커니즘의 초신성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천문학자
대니얼 카센은 지난 2010년 학술지 ‘천체물리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즉 동반성에서 물질 유입을 받은 백색왜성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경우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2000년 출간돼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댄 브라운의 소설 ‘천사와 악마’ 때문인지 반물질 하면 많은 사람들이 ‘반물질 폭탄’을 떠올린다. 댄 브라운은 책에서 “매우 불안정한 반물질이 세상을 구원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지금껏 만들어진 것보다 훨씬 더 치명적인 무기 개발에 사용될 것 ... ...
과학자들이 ‘에이리언’ 찾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5.19
등장하는 것처럼 우리보다 높은 지적 수준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미국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고안한 ‘드레이크 방정식’에 따르면 우주에는 지적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대략 1~1000개 정도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는 외계 지적생명체가 보내는 신호를 잡기 위한 앨런 ... ...
별을 보려면 얼마나 어두워야 하나
팝뉴스
l
2017.05.04
아름다움은 어두운 곳에서야 보고 느낄 수 있다. 존 E. 보틀은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이다. 300개가 넘는 혜성을 촬영한 수 천 장의 사진들이 그의 업적 중 하나이다. 2001년 그는 보틀 스케일을 발표했는데, ‘어두움 정도’를 9단계로 나눠 보여준다. 수준 1은 오지나 국립공원 등 완전히 어두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