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 한국과학자 핵융합 난제 ‘토카막의 딜레마’ 해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LHCD의 효과가 점점 사라졌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개발된 기술이지만 40년이 넘도록
실용화
의 문턱을 넘지 못한 이유다. 백 연구원 팀은 관측 결과를 토대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런 성능 저하 현상의 원인이 토카막 장지 바깥 경계 부분에서의 마이크로파 전력 손실 때문이라는 점을 ... ...
세포 속에 약물 전달, ‘미세입자 캡슐’ 대량생산 가능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것으로 보이는 미세유체 담지기술의 대량생산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 관련 기술의
실용화
가 기대된다. 이 논문은 영국왕립화학회 발간 국제 학술지 케미컬 소사이어티 리뷰(Chemical Society Reviews) 최신호 내부 표지로 선정됐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유체 내부 흐름을 제어해 여러 개의 상을 ... ...
5G 이동통신용 ‘초미니 기지국’ 국산화 추진… 2022년 상용화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ETRI 김대익 책임연구원(왼쪽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5세대(5G) 이동통신
실용화
에 필요한 ‘스몰셀 장비’ 국산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022년까지 5G 이동통신에 활용될 스몰셀 장비를 국산화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스몰셀은 휴대전화 음영지역 ... ...
연료전지
실용화
최대 걸림돌 ‘스트론튬 석출’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규명되지 않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큰 폭으로 낮아지는 문제점 때문에
실용화
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정 교수팀은 100여 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트론튬 석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했다. 그 결과 스트론튬 원소가 다른 원소보다 ... ...
흉터없이 치료 가능한 ‘내시경 수술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유연 내시경 로봇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살아있는 동물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실용화
단계의 기술을 확보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KAIST 연구진이 새로운 수술로봇 케이플렉스(K-FLEX)를 이용해 동물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KAIST 제공. ... ...
전기 잘 통하는 고무로 환자 맞춤형 치료…임플란트-웨어러블 의료기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더 높고,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가 통하긴 했지만 물에 쉽게 산화되는 은의 특성 때문에
실용화
가 어려웠다. 시간이 지날수록 전도성이 떨어지고 은 나노와이어에서 발생하는 은 이온 때문에 생체 독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 나노와이어 표면에 생체에 ... ...
인간 소장 기능 갖춘 오가노이드 성숙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09
“인체의 소장과 유사한 기능을 갖춘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시한 첫 성공 사례”라며 “
실용화
시기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보다 면밀하게 분화 요건을 파악해 완벽한 오가노이드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8월 2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 ...
그래핀
실용화
방법 국내 연구진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5
나노복합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그래핀 신소재의
실용화
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NP를 상용화하려면 ‘자체 응집현상’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그래핀을 얇게 가공해 만들면 내부에서 뭉치고 응집되면서, 접착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 ... ...
100세 시대, 건강 지탱하는 제1조건, “근육을 지켜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8.03
개선 효과가 있었다는 것. 연구진은 이 약물에 대해 국내 및 해외 4개국에 특허출원하고
실용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알약만 먹으면 근감소증을 예방할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권 단장팀은 이 밖에 근감소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혈액검사 시약도 개발해 그 결과를 7월 30일 공개하기도 했다. ... ...
스스로 발전하고 빛에도 반응하는 ‘에너지수확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압전소자를 깐 신발을 신고 걷기만 하면 전기를 얻을 수 있는 식이다. 아직 본격적인
실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성과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전기만 만들 뿐 아니라, 스스로 빛을 감지하는 기능도 가진 압전소자를 만들었다. 제주대 김상재 교수팀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