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휘는 디스플레이 최대 약점 ‘열팽창’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전자회로가 손상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실용화
하려면 투명하면서도 유연하고, 열팽창 계수도 작은 '3박자'가 맞아야 하지만 그런 소재를 찾기는 쉽지 않다. 연구팀은 유기 고분자 소재의 분자구조를 사슬처럼 연결하고 그물처럼 엮은 ‘망상구조’로 ... ...
시야 넓고 몰입감 높은 AR 렌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기술이다. 그러나 AR기능을 구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크기와 시야각에 한계가 있어
실용화
의 걸림돌이 돼왔다. 연구진은 AR 전용렌즈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두께 100㎚(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 수준의 메타물질을 제작하고 ‘시스루 메타렌즈’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렌즈는 보통 ... ...
몸속에서 전기 생산하는 섬유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기술이 페이스메이커는 물론 신경자극기 등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 전력 공급원으로
실용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생체연료전지를 활용한 최초 사례이며, 최고의 전력생산 성능을 보였다”면서 “웨어러블 및 인체 삽입형 소자의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반사해 지구의 기온을 낮출 수 있지만 CO2 흡수 지구공학과는 달리 위험한 측면이 있다.
실용화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오존층에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생태계를 교란시켜 식량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태양 지구공학을 이용하다 갑자기 중단하면 지구온난화가 ... ...
차세대 전자소자 ‘유기반도체’
실용화
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반도체 공학의 통념을 뒤집는 결과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유기반도체의
실용화
에 한걸음 더 다가갈 열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양창덕 교수는 “이번에 합성한 고분자의 전하이동도는 현재까지 보고된 최고 수준의 수치”라며 “앞으로 고성능 유기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동차를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자연산 복합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가진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의 경우 지난 20여 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실용화
되지 못했다”며 “다른 소재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적용 가능한 분야가 매우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 ...
2020년대 환경파괴 없는 ‘수소열차’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1단계 개발사업을 완료하고 충북 오송의 13km 철로에서 시범운행을 통해 실증한 뒤,
실용화
단계로 넘어가는 2단계 개발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지난해 세계 최초로 수소로 달리는 수소전차(트램)를 선보인 바 있다. 디젤기차-전동차보다 배출량 낮아 “기존 열차 비해 운영 ... ...
암세포까지 항암제 정확히 전달하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항암제를 대신할 수 있다. 이전에도 수많은 약물 전달체가 개발됐다. 하지만
실용화
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몸속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약물 전달체에 달라붙는 ‘단백질 코로나 현상’이 약물 전달체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약물이 암세포에 도달해도 치료 효율이 매우 낮아서다. 연구진은 DNA ... ...
희귀금속 대신 흔한 금속 사용 경제적 수소생산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수소생산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수소연료
실용화
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교수는 “향후 상업화될 경우 에너지 및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 ...
‘8K’ 디스플레이 화질 필름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연구진은 관련 기술을 국내 전문업체에 이전해 시제품 개발을 마치고 조만간
실용화
에 나설 계획이다. 백 교수는 “이방성 전도필름 시장은 일본이 세계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데 이번 기술개발로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국제시장 경쟁력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전자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