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뉴스
"
보기
"(으)로 총 2,56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0.05㎜로 그린 꽃과 새
2022.08.13
가능하다는 게 금속공예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의견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에 돋
보기
는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어떻게 초미세 문양을 새겼는지는 미스터리로 남았다. 다만 통일신라시대 사리함과 비단벌레 장식 마구류를 거의 완벽하게 재현한 경험이 있는 금속공예 전문가 최광웅 옹의 조언을 ... ...
제임스웹 과학자 "최고의 우주이미지 위해 30명이 6주간 매일 회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6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이미지. NASA 제공 7월 1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이미지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제 ... 오중주(Stephan's Quintet)'. NASA 제공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동아일보 인터랙티브웹으로
보기
(https://original.donga.com/2022/jameswebb?ref=main)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난을 받아들이면 의외로 해결하기 쉬워져
2022.08.06
그럼에도 지레 겁을 먹으면 얕은 물에도 그만 주저 앉아 버리게 된다. 물에 발을 담가
보기
만 하면 금세 두려움이 사라지고 건널 방법이 보일텐데, 발을 담그지 않음으로써 더 눈 앞의 어려움이 심해처럼 어둡게 느껴지는 것이다. 원치 않던 일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나면 그제서야 이 ... ...
[주말N수학] 전자기기에 관심 많았던 12세 소년 '수학자들의 수학자'로 불리다
수학동아
l
2022.08.06
//www.barrymazurfilm.com *국제수학연맹에서 제작한 메이저 교수의 다큐멘터리 필름
보기
https://youtu.be/QtmJij-imzs ※관련기사 수학동아 8월호,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배리 ... ...
[첨단과학, 다가올 50년]가장 큰 현미경으로 가장 작은 것 분석하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미국 시카고 근교에 있는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 전경 김 교수는 “작은 세계를
보기
위해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이 발명됐지만 나노미터보다 훨씬 작은 존재를 보려면 더 강력한 현미경인 가속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은 에너지를 넣으면 더 작은 세계를 볼 수 있는 파장이 짧은 빔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계약학과는 산업계 인력난을 해결해주지 않는다
2022.07.20
무엇보다도 반도체 산업 현장의 인력난이 대학의 구조적 모순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보기
도 어렵다. 실제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으로 반도체 업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산업 인력은 9만9285명이다. 그런데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추가로 요구하고 있는 인력은 고작 162 ... ...
[표지로 읽는 과학] 산화환원 반응 이해 높이는 ‘바늘’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22.07.17
방향으로 회전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이미지가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했다. 얼핏
보기
엔 외부 자극을 받은 분자들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처럼 보인다. 이미지에서 느낄 수 있는 외부 자극은 원자현미경(SPM)의 탐침에서 가해지는 전압 펄스다. 광학현미경과 ... ...
세종시 도입한다는 '꿈의 암 치료기’…의학계 “지나친 환상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2.07.15
있다는 것이다. 기존 방사선 치료의 연장선에 놓여있는 만큼 획기적인 새 치료법이라고
보기
엔 한계가 있다는 게 이들 의사들의 이야기다. 또 최근 등장한 의료기기라는 점에서 장기적인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강조했다. 의료계에선 중입자치료기는 기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선구자적인 면모를 갖춘 과학자였는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이 교수는 한국에서
보기
드문 과학자다. 이는 그가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했기 때문만이 아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나 사이언스에 논문을 출판하는 한국인 과학자는 이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 교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 ...
우주 너머의 희미한 빛에서 별 탄생과 죽음, 물 존재를 포착하다
2022.07.13
미국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관측,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카리나 성운(Carina Nebula·용골자리 성운)의 모습. NASA 제공 이 ... 오중주(Stephan's Quintet)'. NASA 제공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동아일보 인터랙티브웹으로
보기
(https://original.donga.com/2022/jameswebb?ref=main)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