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2021.02.04
유전자》(1976)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이다. 도킨스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
개체
는 그저 유전자를 옮기는 운반체나 기계에 불과하다. 한편 에드워드 윌슨은 1975년 《사회생물학: 새로운 종합》을 펴내 동물의 사회적 행동과 진화의 연관성을 모색했다. 사회생물학은 생물학적 기초 위에서 ... ...
손톱 크기 '나노 카멜레온' 세계서 가장 작은 파충류 '도전'
연합뉴스
l
2021.02.02
몸통 19㎜에 꼬리까지 합하면 29㎜인 수컷보다 큰 암컷을 발견했으나 이들 외에 다른
개체
는 찾아내지 못했다. 논문 제1저자인 ZSM 파충류 큐레이터 프랑크 글라브 박사는 "수컷 나노 카멜레온은 모든 '양막류' 중에서 가장 작다"고 했다. 양막류는 배(胚) 발생 중 이를 싸는 양막(羊膜)이 존재하는 ... ...
인간 탓 일부 동물 이동량 70% 더 늘며 '고단한' 생존
연합뉴스
l
2021.02.02
다른
개체
에 비해 68%나 작으며, 도로나 주거지 주변의 호주 날다람쥐 역시 숲에 사는
개체
보다 행동권이 작은 것으로 분석돼 있다. [Paul Balfe (Creative Commons) 제공] 연구팀은 "동물은 인간을 피해 달아나거나, 먹이나 짝을 찾아 더 멀리 이동하고 새로운 은신처를 찾는 등의 방법으로 인간의 소란에 ... ...
공룡의 왕 티라노사우루스 이기는 스피노사우루스 "물속 헤엄치는 공룡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하지만 2014년 ‘사이언스’ 논문이 발표된 이후 고생물학계에서는 한
개체
가 아닌 여러
개체
의 스피노사우루스 화석을 이어 붙여 복원도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을 문제 삼아 스피노사우루스의 수생공룡설에 반대하는 연구도 여럿 발표됐다. 이번에 논문을 발표한 혼과 홀츠 박사도 ... ...
화성 가는 우주인 한국 기업이 만든 약 먹는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와의 공동연구에서도 치사량의 방사선(30일 이내 전체
개체
의 70%가 사망하는 조건)을 조사한 후 ‘EC-18’을 24시간 이후에 투여시 방사선에 의한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급성방사선증후군 예방 및 치료 연구성과를 지난해 10월 미국 방사선학회에서 발표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2021.01.25
한 DNA백신만이 상용화됐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백신들은 아직 임상시험 중이다. 투여된
개체
에서 항원이 적게 생산되어, 면역반응 및 예방 효능이 낮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국내에서는 진원생명과학(임상 1/2a상), 제넥신, 이노비오-국제백신연구소가 이 방법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
2021.01.24
각자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호모 사피엔스는 자신과 세력권이 겹치는
개체
에 엄청난 공격성을 보인다. 아니, 인간은 외집단에 더 가혹하지 않느냐고? 물론 그것도 맞다. 하지만 같은 집단이라고 해도 생태적 적소가 겹치면 공존하기 어렵다. 만약 소위 ‘조화로운 리더십’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
2021.01.19
큰 희생이 따르는 전면전보다는 여러 마리가 팀을 짜서 매복과 습격을 통해 한두
개체
씩 제거해 상대 무리를 궤멸시키는 전략을 쓴다. 수렵채취인 역시 같은 방식으로 다른 집단의 구성원을 없앤다. 반면 보노보는 낯선 두 무리가 만나도 피를 흘리는 일이 거의 없다. 한편 무리 내부의 폭력적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메시지에는 1~10까지의 숫자, DNA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의 원자 번호, 지구의 인간
개체
수 등의 정보를 담았다. 노벨상 수상에도 공헌했다.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조지프 테일러와 러셀 헐스는 아레시보 망원경으로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다. 이 ... ...
[영상+]로봇 물고기떼 '칼군무' 비결은 '옆친구'
2021.01.14
협동 작업도 소통도 오가지 않는다. 로봇 물고기가 무리지어 다니면 한
개체
만 조종하면 되는 장점이 있고 여러 기의 로봇 물고기를 구동할 땐 떼지어 움직이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흰 물고기 모양에 파란등 3개를 단 로봇 물고기 '블루봇'을 실험에 사용했다. 블루봇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