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정
천정점
꼭대기
계단위의 덮개문
채광창
d라이브러리
"
천장
"(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힘껏 내저으며 대변과 오줌을 함께 아래 위 사방으로 흩날려 버린다. 이 혼합물은 온통
천장
에건 벽에건 달라붙고, 금방 간 수영장의 물도 똥물로 바꿔 놓는다.여름에는 여름대로 더워서, 겨울은 후덥지근한 온실에서 지내기 때문에 하마우리는 사철 지저분해, 사육사가 웬만치 쓸고 물갈이를 해도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만난다. 얇은 앞쪽 모서리는 전악골 치열까지 아래쪽으로 휘어져 얕게 패인 전악골 입
천장
을 형성한다. 각 전악골의 앞쪽 모서리는 거칠고 조그만 구멍들이 나있다….” 이 과정은 기재해야 할 뼈가 3백개가 넘는 큰 표본인 경우 매우 힘들고 지루하게 진행된다.한편 뼈를 그리는 기술은 펜과 잉크를 ... ...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대해 알아보자.근래에 백열전구가 사라져가고 있다. 아파트 복도에서, 엘리베이터
천장
에는 물론이고 가정내 욕실에까지. 수명과 효율을 무기로 등장한 3파장 전구가 그 자리를 대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 비밀은 무엇일까.3파장 전구를 많은 사람들은 오스람 전구라고도 말하는데, 이는 독일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1851년 프랑스의 과학자 푸코는 파리의 팡테온 신전의
천장
에 진자를 매달아 진동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관측해 지구가 자전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만약 지구가 자전하지 않는다면 진자는 항상 똑같은 선을 따라 움직였을 것이다.하지만 진자가 진동하는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냄새는 어떻게 맡나?사람은 냄새를 어떻게 맡을까. 비강 뒤쪽
천장
에 존재하는 우표 크기(1-2cm2)의 후각상피에서 인식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후각 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돼 있는 후각상피는 점막에 의해 덮여있다. 후각 세포 끝에는 후각섬모가 존재하는데,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사람의 얼굴은 유인원에 비해 편평하고 몸 전체에서 볼 때 아주 작다. 사람의 잇몸과 입
천장
은 넓은 포물선형인 반면, 유인원은 길고 좁은 사각형(U형)으로 앞쪽 두 귀퉁이에 커다란 송곳니가 튀어나와 있다. 중추신경굼(척추신경 안에 있는 구멍)은 유인원의 경우 머리 뒤쪽으로 나 있지만, 사람은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건조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풍선을 머리에 문지르면 벽이나
천장
에 붙여 놓을 수도 있다.② 숟가락 자석자석으로 숟가락을 몇 번 문지르면 숟가락은 자석이 된다. 이 숟가락을 탁자 모서리에 몇 번 두드리면 자석의 성질이 사라진다.■왜 그럴까?두드리고 난 후의 숟가락은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림1)공룡을 구별하는 9가지 특징① 눈 앞에 있는 구멍까지 연장돼 있는 길다란 앞입
천장
뼈가 발달함.② 두 개 이상의 허리척추뼈.③ 윗팔뼈와 만나는 어깨뼈와의 경계부분이 뒤쪽을 향함④ 윗팔뼈의 삼각형 가슴돌기가 윗팔뼈의 위에서부터 중간까지 발달함.⑤ 네번째 앞발가락 마디의 수가 세 ... ...
Ⅳ. 중세의
천장
은 왜 고딕식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종류와 형식에 따라서 연주장의 건축양식이 변해 왔음을 알 수 있다.중세의 성당은
천장
이 높은 고딕식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잔향을 극대화해 종교적인 엄숙함과 울림을 만드는데 적합하다. 때문에 단조로운 단성음악인 미사곡에 아주 어울리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대규모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당시로서의 첨단 구조 공법으로 해결해냈다. 릴리빙 아치란 한 마디로 기둥에 집중되던
천장
의 무게를 벽체로 전환시키는 트랜스퍼 시스템(transfer system)이었다. 그 결과 판테온의 기둥에서는 16이라는 숫자가 잘 지켜졌고 로마 사람들은 이렇게 구성되는 판테온에 정말로 만신이 모여드는 것으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