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장"(으)로 총 4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과학동아 l2001년 08호
- 신기해보였던지 옆에서 구경하다가 깃이 바람에 날려가면 쪼르르 달려가 주워오거나 천장 모서리에서 밀랍을 뜯어 와 끈적끈적하게 이겨주기도 했지요.다이달로스는 제 몫의 날개가 완성되자 이번에는 조금 작으나 보드라운 깃털이 훨씬 많이 들어간 이카로스 몫의 날개를 만듭니다.날개가 ...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솟은형에 속한다. 서양인은 날카로운 코뼈문턱을 가졌다. 또한 흑인은 사각형 모양의 입천장을 가졌으며 이틀이 앞으로 튀어나왔다. 그러나 이들을 가장 쉽게 구분해주는 머리뼈 특징은 눈확(眼窩, orbit)이다. 눈확은 머리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동양인은 둥글고 흑인은 네모나며 길고 ...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과학동아 l2001년 07호
- 비둘기를 상자 안에 가두어두고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어떤 비둘기는 부리를 치켜들고 천장을 쳐다보기도 하고 어떤 비둘기는 벽이나 바닥을 부리로 쪼기도 한다. 날개짓을 하며 부산을 떠는 놈들도 있다. 이때 한 방향의 벽을 골라 그 벽을 부리로 쫄 때마다 모이를 주는 것이다. 아무 것도 모르는 ...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과학동아 l2001년 07호
- 별자리 기록이다.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무덤 천장에도 많은 별자리 기록이 남아있지만 대부분 실제 밤하늘과 일치시키기가 힘들다. 그런데 확인된 몇 안되는 별자리 중에 이집트의 까뀌 별자리가 있다. 까뀌는 조각가가 신비한 조각상을 만들 때 사용하던, 신화 ...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과학동아 l2001년 05호
- 그러나 오랫동안 진화하며 적응해온 자연을 관찰하면 그 답을 얻게 된다. 필자는 사무실 천장에 매달린 채 미라가 된 잠자리를 떼어내 저울에 달아보고는 0.2g도 되지 않는 것에 탄복한 적이 있다. 이는 항공기를 새처럼 작게 만들려면 새만큼 가벼워야 하고, 곤충처럼 더 작게 만들려면 곤충만큼 ...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짜면 같은 두께의 강철보다 10배는 강하다. 철사줄 정도의 두께로만 뽑아낸다면 피아노도 천장에 너끈히 매달 수 있을 정도다. 강도뿐만 아니라 유연성도 대단하다. 여간해서 끊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한 예로 한가닥의 거미줄을 수십km까지 늘리는데 성공했다는 연구도 있다.비단 거미줄뿐만이 ...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내부가 무척 넓어서 시장이나 법정으로 사용하던 바실리카 건축방식을 닮았다. 그런데 천장과 중앙 아래쪽 계단, 그리고 측면의 아치 회랑들이 가만히 살펴보면 모두 한방향으로 나란히 줄을 맞추고 있다. 그래서 보는 이의 눈길도 자연스레 줄거리의 중심인 부조 한 복판, 드루시아나의 부활 ...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멋지게 그려놓았는데, 이를 사령 그림이라고 한다. 우리가 주목하진 않았지만, 고분의 천장에는 황룡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어떤 학자들은 고구려 사람들이 사령들을 무덤 속에 그린 까닭이, 사령들이 죽은 이의 영혼을 지켜주리라는 염원에서라고 말하는데, 정확하게 말하면 그게 아니라 사령은 ... ...
- 만테냐 10년의 역작 신혼의 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f와 g, g와 h 사이에도 눌린 원을 그릴 수 있다.황제의 권위 상징하는 월계수만테냐는 천장 복판의 우물 안팎에 날개 달린 어린 푸토들이 장난치며 노는 모습을 그려뒀다. 난간에 앉은 공작새 한마리가 맞은 편에 아슬아슬하게 오려둔 오렌지 나무를 쳐다본다. 화분 옆에서는 젊은 처녀 셋이 머리를 ...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과학동아 l2001년 01호
- 힘들다. 그나마 한가지 알쏭달쏭한 힌트가 있다면, 고구려고분 중에서 장천 1호분의 천장에 그려져 있는 두개의 북두칠성 사이에 희미한 붉은 물감으로 ‘북두칠청’(北斗七靑)이라고 적어놓은 것이다. 북한학자들은 이것을 이두식 표기(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던, 신라에서 발달한 ... ...
이전343536373839404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