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동"(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존재가 이 패턴에 영향을 미쳤다. 이런 특성을 가정해 우주배경복사에 나타날 진동의 강도를 예측한 결과, 실제 더블유맵(WMAP)의 관측 결과와 일치했다.현재 수정뉴턴역학은 사실상 수명을 다했다. 우주거대구조 관측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은하 규모의 작동원리만을 기술할 수 있는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 이제 본격적으로 지구 속 탐험을 떠나 볼까? 그래, 저기 땅을 파고있는 과학자들이 있군. 저기로 가면 지구 속을 볼 수 있을 것 같네. 엥? ... 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일상 속 소음으로 지구 속을 본다?스웜 위성이 우주에서 지구 내부를 봤다면, 미국스탠포드대학교 나카타 노리 박사팀은 가까운 일상 진동을 ... 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느덧 우리의 탐험도 막바지에 이르렀군! 탐험의 종착지는 지구 가장 안쪽에 있는 핵이라네. 지구 가장 깊숙한 곳으로 들어갈 생각을 하니 ... 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측정할 수 있어요. 자의 눈금이 촘촘할수록 더 정밀하게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처럼, 진동이 많을수록 더 정밀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거예요.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도 이터븀 원자시계를 개발하고 있어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시간센터 유대혁 센터장은 “2020년 이후에는 시간의 기준이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계획을 세웠습니다. 전압과 주파수가 높은 전류를 만들어 내는 기계를 발명했는데, 진동 변압기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다른 과학자들이 사용하며 테슬라 코일로 알려졌습니다. 이 테슬라 코일은 무선 전력 연구의 밑바탕이 됩니다. 그리고 테슬라의 꿈은 오늘날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구 속을 보는 첨단 기술들이 이렇게나 다양하게 개발되다니, 정말 놀라워! 덕분에 지구 속 비밀이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다더군. 그런데 뭐? ... Intro. 지구 X-파일Part 1. 지구 속 탐사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Part 3. 자기장과 진동Part 4. 맨틀 속 신세계!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킹을 해서 정보를 빼돌리면 돈이 해커의 계좌로 들어갈 수도 있답니다.● 마이크로파 : 진동수가 1~300GHz이고 파장이 1mm에서 1m까지인 전자기파를 말한다.● 협정세계시 : 국제사회가 사용하는 과학적 시간의 표준. 영국의 런던시간이 0시일 때에 한국은 9시간이 빠른 다음 날 오전 9시가 된다.● GPS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아도 된다.충전기 이제 안녕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은 자기, 전자기파, 빛, 소리, 진동 등 다양합니다. 그중 무선전력전송에는 자기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휴대폰 무선충전기술도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송수신합니다.자기장을 이용하는 방식에는 자기유도 방식과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아 사용하기 불편하다.반면 1967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원자시는 세슘-133 원자의 진동수(91억 9263만 1770번)를 1초로 정의한 시간이다. 이에 따르면 하루는 정확히 8만 6400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실제 천문현상과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태양이 남중에 위치하고 있어도 원자시로는 정오가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