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어린왕자가 사랑한 사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황금빛으로 찬란하게 빛나는 모래 언덕과 파도처럼 물결치는 언덕. 황량하기만한 사막 풍경에는 어쩐지 시선을 잡아끄는 아름다움이 있다. 어린왕자의 작가 생떽쥐베리는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는 어딘가에 샘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그런데 사막에 숨겨져 있는 게 또 있다. 바로 자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앗! 반지가 또 있잖아? 절대반지는 이미 불 속에 던져 버렸는데, 절대반지가 또 있는 걸까? 잠깐, 반지에 ‘Legend of Mathematics’라고 쓰여 있어. 수학의 전설?”절대반지를 찾아 떠났던 프로도는 절대반지를 찾아 불 속에 던지고 돌아오는 길에 또 다른 반지 하나를 발견했다. 반지는 유난히 반짝거리 ... ...
- [퍼즐탐정 썰렁홈즈]스팸 문자의 달인, 머완는지 궁구마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보내라.’이번에도 문자를 보내왔다. 이번 문자에는 사진이 한 장 첨부되어 있었다.사진을 열어 보니 3월 달력이었다. 그런데 날짜들이 모두 제각각이었다.“아니 뭐 이런 달력이 있지? 무슨 날짜를 찾으라는 거야?”미션4 암호를 풀어라‘세 번째 문제도 잘 풀었다. 정답이다. 이제 가장 중요한 ... ...
- [교과연계수업] 새학기, 착한 학용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제품이죠? 그런데 놀라운 건 가방, 필통 전부 다 버리는 소파와 옷으로 만들었다는 사실! 사진에 있는 필통이나 가방, 주머니는 찢어지거나 오래된 가죽 소파와 입지 않는 가죽 자켓, 양복에서 추려낸 깨끗한 가죽과 천으로 디자인, 제단, 접착, 제봉과 같은 작업을 해서 다시 태어난 제품이에요. ● ... ...
- 숫자만 인지하는 뇌 부위 발견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숫자라는 상징을 이용해 수학적인 인지활동을 하는 것은 사람만이 가진 독특한 특징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팀이 사람의 뇌에서 숫자에만 반응하는 미세한 영역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스탠포드대 의대 조세프 파르비치 교수 연구팀은 수술을 위해 검사하고 있는 간질 환자들의 뇌 ...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원숭이는 도구를 사용할 뿐 아니라 물건의 양을 인식하고 구별할 줄 아는 똑똑한 동물이다. 하지만 원숭이가 어떤 방식으로 사물의 양을 구별하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로체스터대 인지과학과 제시카 캔틀런 교수 연구팀이 원숭이의 수학적 인지 능력에 대한 ...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하게! 서울대생 최정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원주율($π$)을 100자리나 외우는 수학 천재?최근 한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 중인 예능 프로그램에 ‘수학 천재 소녀’라고 불리며 출연 중인 서울대 학생이 화제가 되고 있다. 연예인은 물론 포커 고수, 프로게이머 등 각 분야에서 최고로 통하는 실력자들이 모여 펼치는 두뇌 게임에서 맹활약 중이기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년 06호
- 350여 년 동안 미해결 난제로 남아 수학자들을 괴롭히던 난제 중의 난제인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한 것은 수학분야에서 20세기 최고의 업적으로 거론된다. 그 해결의 주인공인 불세출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는 1953년 영국 케임브릿지에서 태어나 올해 회갑을 맞았다. 앤드루 와일즈는 어 ...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늘었거든요. 통계가 사회와 경제활동 등에 깊숙이 활용되면서 일러스트가 도입되고, 사진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된 거죠.현재는 인터넷이 크게 발전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해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인포그래픽이 각광받고 있어요. 이제 인포그래픽은 통계와 디자인,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카메라로 찍은 다음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3차원 캐릭터가 만들어져요. 2차원 사진 속 버즈를 3차원 좌표 위에 올려놓으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버즈를 삼각형 모양으로 잘게 쪼개서 위치정보를 ($x, y, z$) 꼴로 저장하죠. 물론 실제로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더 복잡하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