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웨인저가 완성된 구조물을 서서히 평면으로 펼치는 과정을 모두 사진으로 담았다. 이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한 다음, 컴퓨터 상의 3차원 좌표에 표현해 애니메이션으로 연속 동작이 될 수 있도록 연결시켰다.그 결과 이제 기존의 다면체는 물론, 웨인저가 새로 정의한 다면체의 전개도와 구조를 ... ...
- [W5 코드 브레이커] 컴퓨터가 이끈 새로운 암호 시대!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독일군과 연합군의 숨막히는 암호 전쟁은 결국 연합군의 승리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뒤, 암호 해독기 콜로서스에 적용된 기술은 컴퓨터 개발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컴퓨터는 ‘암호’를 언어로 사용하는 기계라고 하는데, 대체 이게 무슨 말일까요?0과 1만 이해하는 기계과학 ... ...
- [life & Tech] 42° 고개를 들면 무지개가 보인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들어지는데다가 제2무지개보다 더 흐리고 크기 때문이다. 제3무지개를 촬영한 사진이나 실제로 보았다는 사람을 찾기 어려운 이유다.만약 다른 용액을 쓰면 어떨까. 소금과 물을 1:1로 섞은 소금물을 함께 뿌려봤다. 드디어 세쌍무지개가 떴다! 바로 물의 굴절률(1.33)과 소금의 굴절률(1.54)이 다르기 ...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올 여름, 세상에 없던 특별한 고릴라가 왔다. 야구 방망이를 이쑤시개처럼 들고, 쳤다 하면 홈런을 날리는 야구하는 고릴라 ‘링링’이다. 아시아 최초 3D 디지털 캐릭터로 만들어진 탄생의 비밀과, 야구 속 수학 이야기도 만나 보자.야구 하는 고릴라, 한국 야구단에 입단하다!안녕? 난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데카르트의 여름방학 특강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프랑스에서 17세기에 활동했던 르네 데카르트라고 합니다. 수학자이자 과학자죠. 이번 특강의 주제는 ‘무지개’입니다. 여름철은 특히 무지개를 보기 좋은 때니까요. 그런데 이런 무지개는 대체 어떤 원리로 생기는 걸까요? 언 ... ...
- [체험] 수학으로 툭 튀어나온다! 팝업 카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아빠, 어쩌죠? 할머니께 쓴 카드를 집에 두고 왔어요. 왜 하필 할머니 댁에 거의 다 오니까 생각나냐구요.”“에구~, 미리 좀 챙기지 그랬니? 그나저나 여기 연꽃이 아주 예쁘게 피었구나. 연꽃?! 그렇지! 하나야, 카드를 직접 만들어 드리는 건 어떨까? 카드를 펼치면 연꽃이나 하트가 튀어나오는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발표하고 전시하는 기회도 있답니다. 참여 방법은 간단해요. 여러분이 만든 작품을 사진으로 찍어서 설명과 함께 각 분야 담당자에게(www.bridgesmathart.org에서 확인) 보내 주세요. 그러면 간단한 심사를 거쳐 참가 여부가 결정됩니다.벌써부터 내년 한국에서 열릴 브릿지 학회가 기대되는군요! 저와 ...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고래 조사를 수시로 한다. 돌고래 떼도 수시로 만난다. 그때마다 망원렌즈로 사진을 찍고 지느러미 모양을 확인한다.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각기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만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암면의 너비가 약 10m고 높이는 약 3m다. 국립문화재연구소와 울산대학교 박물관이 탁본과 사진촬영 조사를 해 모두 296점의 그림을 분류했다. 여기에는 호랑이, 표범, 사슴, 바다거북, 상어, 물고기 등 다양한 동물을 표현한 그림이 193점 있는데, 이중 고래를 묘사한 것으로 보이는 그림이 58점으로 가장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시간이 지나면 최단 시간이 걸리는 경로로 움직이게 된다.아래는 논문에 실린 실험 사진.개미도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빠른 속도로 걸을 수 없는 울퉁불퉁한 지표면에서는 움직임을 줄이고 매끄러운 지표면에서 더 많이 움직인다.#3 편한 길은 많이, 힘든 길은 적게마지막으로 좀 더 고난도의 수학 ... ...
이전4024034044054064074084094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