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5,972건 검색되었습니다.
美·中 이어 유럽도 우주軍 창설 고려…우주 평화의 시대는 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군용 위성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호주 매체 스페이스데일리닷컴은 지난달 16일 프랑스
국립
우주센터(CNES)가 우주군 창설을 준비하고 있으며 마크롱 대통령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는 내용을 전했다. 분석가들은 이런 프랑스의 움직임을 두고 EU내 국가들이 우주군과 관련된 미국과 러시아, 중국, ... ...
韓美연구진, 신 총장 논란 X선 현미경 활용해 ‘블로흐 점’ 최초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특이점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사진 제공 UNIST 한국과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LBNL) 연구자들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정보처리 소자인 ‘3차원 위상 스핀 구조체’에 필요한 핵심 구조를 실제 물질에서 관측하고 움직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초고속 반도체 소자 ... ...
故 윤한덕 센터장 추모…"응급의료에 헌신한 든든한 버팀목"(종합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10일 오전 9시
국립
중앙의료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될 예정이다. 지난 4일 오후 6시께
국립
중앙의료원 윤한덕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이 의료원 사무실에서 설 연휴 근무 중 돌연 사망했다. 사진은 7일 오후 윤 센터장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사무실 외관 모습.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2.08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권석민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권용현 △
국립
외교원 강상욱 △국방대학교 홍진배 ▽과장급 △홍보담당관 최동원 △정보보호담당관 이현정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 조낙현 △사이버침해대응과장 황큰별 ... ...
[과학게시판] '4차산업혁명과 AI 대한민국'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정·관계인사와 산학연 관계자 등 8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립
과천과학관이 오는 12일부터 3월 3일까지 유명 과학‧공학 유튜버들이 만든 창작품을 전시하는 ‘유튜버 창작 기획전’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유명 과학‧공학 유튜버들의 작품을 직접보고 직접 ... ...
태아별에서 생명 근원 ‘유기물’ 분자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V883 Ori 주위를 돌고 있는 원시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원반은 바깥쪽은 차갑기 때문에 먼지입자들이 얼음으로 덮여있다. 이번 ALMA 관측을 통해 원반에서 물이 승화하는 경계면인 ... 따라서 넓은 영역에서 얼음에 갇혀있던 다양한 분자들이 기체상태로 승화한다. -사진 제공 일본
국립
천문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특정 효소를 제거하면 공포 기억을 없앨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밝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에서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이노시톨 대사 효소’에 주목했다. 이노시톨은 음식물을 통해 공급받아야 하는 영양성분인데, 부족할 경우 ... ...
남극 바다표범 꿀꺽 삼킨 2017년의 추억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뉴질랜드 남쪽 지역의 오레티 해변에서 수집한 레오파드 바다표범의 배설물에서 USB 메모리가 발견됐다. 해당 USB 메모리엔 2017년의 추억이 담겨있었다. 이 USB 메모리를 발견한 ... 때까지 얼려진 상태이기만 하면 된다”고 말했다. 실제 2017년 촬영된 영상. 뉴질랜드
국립
해양연구소 제공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겨울나기…숨을 죽이다
2019.02.06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
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를 지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움직이지 않으면 근섬유가 가늘어지지만 세포핵의 개수는 줄어들지 않는다(아래). 미
국립
과학원회보 제공 리뷰논문을 쓴 미국 매사추세츠대 생물학과 로렌스 슈와르츠 교수는 이런 발견이 고령사회가 되면서 점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근감소증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영감을 준다고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